청년층 절반은 우울한 '비정규직'

온라인팀 / / 기사승인 : 2012-11-21 14:29: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청년층 10명 중 5명은 비정규직으로 불안정한 고용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대선캠프와 기본소득청소년네트워크가 지난 9월부터 10월까지 10~30대 1310명(10대 260명·20대 892명·30대 136명)의 청년을 상대로 청년들의 경제생활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다.

21일 이들 단체에 따르면 청년층의 고용형태는 파트타이머가 31.7%로 가장 많았다. 정규직은 31.6%로 집계됐다. 그러나 계약직과 파견근로직, 일용직, 파트타이머를 함께 더할 경우 53.9%로 절반 이상이 불안전한 고용형태에 시달렸다. 임금노동자의 11%는 2개의 일자리를, 2%는 3개의 일자리를 가지고 있었다.

급여에 대한 만족도는 부족하다는 의견이 38.4%로 가장 높았다. 매우 충분하다는 의견은 4.1%에 불과했다. 최소한의 생활 유지를 위한 한 달 적정임금은 150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비율이 40%였다. 뒤를 이어 200만원 이상, 110만원 이상 순이었다. 올해 기준 최저시급을 적용한 월 95만원을 적정임금으로 꼽은 비율은 4%에 그쳤다.

또 응답자의 30%만이 스스로 주거비용을 부담하며 경제적으로 주거 독립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 부담금액은 20만원 미만이 24%로 가장 높았으나 31만~40만원까지 20% 초반대로 고른 분포를 보였다.

주거비용을 부담하지 않는 응답자의 88%는 가족·친인척과 함께 살고 있었으며 기숙사 등 사회지원의 혜택을 받는 경우는 9% 정도로 분석됐다.

한달 평균 지출 총액은 21만~40만원이 31.9%로 가장 많았고 41만~60만원이 25.1%로 뒤를 이었다. 가장 지출량이 큰 항목은 식비였다. 액수는 16만~20만원(21.6%)이 가장 많았다.

휴대폰과 전화요금은 6만~10만원이 53.8%로 분석됐으며 교통비 역시 6만~10만원이 33.5%로 가장 일반적이었다.

부채가 있는 경우는 27.6%로 나타났으며 원인은 학자금 대출이 71.3%로 단연 높았다. 이어 생활비가 33%, 거주주택 보증금이 11.4%인 것으로 나타났다.

예상치 못한 목돈 지출에 대한 준비는 66.1%가 돼있지 않다고 답했다. 대응 방안은 친인척에게 도움을 청한다는 응답이 45.2%로 가장 높았다. 생각해 본 적 없다는 응답도 16.4%나 있었다.

임금을 제외한 추가적인 소득이 있을 경우 사용처로는 여가·유흥·문화생활이 45.1%로 가장 선호됐다. 다음으로 여행이 37%, 저금·금융투자·재테크가 30.9%였다.

추가적인 소득의 금액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32.5%가 10만~30만원을 택했다. 지급 방식으로는 조건없는 기본소득이 25.3%로 가장 많았고 저소득층 지원이 20.3%로 두 번째로 높았다.

하루 적정 노동시간은 8시간이 제일 많았고 6시간과 7시간이 그 뒤를 이었다. 노동시간이 단축된다면 가장 하고 싶은 일은 '문화생활'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들은 "청년에게만 한정된 정책보다는 전체시스템을 바꿀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면서 "불안정노동체제를 종식시켜야 하며 이에 필요한 재원은 투기불로소득 환수로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정부에 ▲기본소득지급 ▲최저임금 1만원 ▲전국민안식년제도 도입 ▲반값통신비 ▲무료와이파이 ▲노동시간단축 ▲무상대중교통 ▲학자금부채탕감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22일 오전 11시 국회 앞에서 청년실태조사에 대한 결과를 발표하고 청년정책을 제시할 계획이다.

/뉴시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온라인팀 온라인팀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