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전용혁 기자]박근혜 대통령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 협상에 진전이 있고 ‘마지막 단계’에 있다고 밝히면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봉영식 아산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정보와 분석이 필요하고 좀 더 신중하게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봉 연구위원은 22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8차례에 걸쳐서 양국이 국장급 협의를 진행한 것은 사실이지만 박 대통령께서 어떤 근거에서 ‘마지막 단계에 들어가 있다’고 말씀하셨는지 신중하게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실질적인 진전이 있어서 말씀하신 것인지, 일본측에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으니 가시적인 성과를 빨리 내야 된다는 압박성 발언으로 하신 것인지, 좀 더 정보와 분석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일본측에서 가장 관심있는 것은 일본이 한국측의 요구를 받아들여서 위안부 문제에 대해 진정성 있는 태도를 보인다고 할 때 과연 그것으로 이 위안부 문제가 영구히 해결된다고 한국 정부가 보장할 수 있는가 그러한 확답을 얻고자 하는 것”이라며 “대한민국도 민주주의가 정착됐고, 언론의 영향력도 강하기 때문에 이 행정부가 양국 간 협의를 100% 보장을 해줄 수가 있는가에 대해 일본 정부가 계속 우려할 이유가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1965년 국교 정상화를 할 때도 양국이 국교정상화를 함으로써 이런 남아 있는 문제가 영구히 해결됐다는 공감대가 있었지만 결국 50주년 지나서 또 새로운 문제가 제기되기 때문에 그런 것을 되풀이 하는 것을 우려하는 것이 일본 정부의 입장”이라고 밝혔다.
‘일본이 책임을 인정하고 사죄하거나 피해자에게 재정지원을 하는 방식의 접점을 찾고 있다’는 내용의 일본발 언론보도 내용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양국에서 다양한 아이디어라든지 제안을 교환한 것은 사실이지만 한국의 입장에서 본다면 일본 정부가 정말 국가가 공식적으로 책임을 지고 정식으로 배상을 하는 조치를 취할 것인지, 거기에 대해 일본 정부의 확답을 받길 원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일본 정부 입장에서는 일본이 한국의 요구를 받아들여 행동을 취했을 때 앞으로는 이 위안부 문제가 다시는 한국과 일본 간에 그런 외교관계에서 다시 이슈로 제기되지 않겠다는 한국 정부의 보장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라고 거듭 밝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