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곤, 호남불출마...수도권 출마가능성 열어놔
[시민일보=이영란 기자]4선의 호남 출신 새정치민주연합 김성곤 의원이 20대 총선에서 지역구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사실상 험지 출마 의지를 피력했다.
새누리당 서울시당위원장인 김용태 의원도 여당 중진급 인사들에게 수도권 험지 출마를 촉구하고 나서면서 총선 단골 메뉴인 '험지출마론' 가 탄력을 받고 있다.
김의원은 1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부산에 지역구를 둔 김무성 대표가 내년 총선에서 지역구를 서울로 옮겨 출마하는 결단을 내려야한다고 압박했다.
김 의원은 "(김 대표가) 서울 출마에 준하는 결단 없이는 내년 총선을 이길 수 없다"며
"자기희생의 모습을 보여줄 때만이 우리 국민이 '최소한 이 당은 자기를 희생할 줄 아는 지도자도 있구나' 하고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나년 4.13 총선 서울지역 판세에 대해 "박근혜 대통령이 전국적으로 인기 좋고 새누리당이 아직도 새정치연합보다 인기 있어 보이지만 서울에서는 그렇게 녹록지 않다"면서 "기본적으로 (서울의) 정치 기반 자체는 완벽하게 야당판"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김 의원은 전날 야당 김성곤 의원의 호남 불출마 선언을 언급하면서 "이제 우리 양당 내에서도 지도자급 반열에 이른 분들이 자기를 내던지는 이 같은 모습을 보이는 경쟁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요구했다.
그러면서 김황식 전 국무총리, 정몽준 전 대표 등에게 서울 지역에 출마해줄 것을 직접 권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같은 당 이노근 의원도 당선되기 어려운 '험지'는 꺼리고 '텃밭'에만 출마하려 하는 당내 거물급 인사들을 '웰빙족'이라고 지칭하며 자성을 촉구했다.
이 의원은 전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내 초·재선 모임 '아침소리'에 출석해 "자칭, 타칭 전·현직 거물급 인사들이 총선 출마를 준비하고 있다. 그런데 '양지' 즉, 당선가능성이 높은 지역에만 인사들이 몰리고 그렇지 못한 험지는 인재가 아주 빈약하다"고 꼬집었다.
그는 "지금 새누리당의 취약점 중의 하나가 쉽게 당선돼서 쉽게 국회의원 돼서 쉽게 의정활동 하는, 소위 '웰빙족'의 모습 아니냐"며 "서울 일부 지역과 경상남·북도 지역은 당선 가능성이 높은데 여긴 직간접적으로 출마할 인재가 넘친다"고 비판했다.
이어 "서울의 상당수가 험지인데 여기는 인재들이 아주 빈약하고 정국상황이 우리당에 유리한데도 (의석을) 야당에 뺏길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야당에서도 김성곤 의원을 험지 시작으로 험지출마 요구가 고개를 들 것으로 보인다.
김성곤 의원은 전날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호남 불출마 결심을 공개적으로 선언하면서도 총선 전체지역을 불출마할지는 차후 더 깊이 고민해볼 문제라고 밝혔다.
이는 수도권 지역 등 다른 지역으로 출마하는 방안까지 완전히 배제한 것은 아니라는 뜻으로 풀이된다.
실제 김 의원은 기자회견에서 당의 승리를 위해 작은 밑거름이 되려 한다. 당이 어려운 상황에서 호남내 최다선 의원으로서 저부터 내려놓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며 일단 현 지역구 불출마를 결심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당에서 어려운 지역에 나가라고 한다면 그러한 여지까지 닫는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사실상 당에서 수도권 열세지역 등에 차출한다면 그것까지 피하지는 않겠다는 뜻이다.
이에 앞서 안철수 의원은 최근 혁신위의 '험지 출마론'에 대해 "정치인은 지역 주민과의 약속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제 지역구인)노원병은 서민과 중산층이 아주 많이 모여 사는 곳이다. 그 분들의 삶의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정치를 시작하고 약속했다"며 험지출마 요청을 거부한 바 있다.
당시 그는 "정치적으로 결단해야 감동을 줄 수 있는데 훈수 두듯 먼저 질러 놔버려서 어떤 결단을 해도 국민이 결단으로 보지 않을 것"이라며 "엄청난 자해행위"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상황인식이 잘못됐다. 수도권과 충청권이 어려운데 부산만 이야기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지적 했다. 이에 따라 험지 출마론은 한동안ㅅㅇ 수면 하에 가라앉았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