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공천룰, 가닥 잡혀간다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5-12-29 11:53:15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경선, 당원 50%-국민 50% 전화여론조사로 여성-장애인 20%, 신인 10% 가산점 부여

최고위, 결선투표 중복가산점은 재검토 요구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새누리당 최고위원회가 국민참여선거인단 구성 문제에 대해 공천특위에 '절충안'을 제시하는 등 4.13 총선 공천룰의 가닥이 잡혀가고 있다.

29일 새누리당 공천특위 위원들에 따르면 최고위는 전날 황진하 사무총장의 특위 논의안을 보고받은 뒤, 선거인단구성 문제에 대해 절충안을 제시하며 검토해 볼 것을 지시했다.

최고위가 공천특위에 제시한 절충안은 선거인단을 당원 50%, 국민 50%로 구성하되, 당원과 국민 모두 현장투표를 없애고 전화면접조사를 통해 경선을 치르는 방안이다.

이 같은 절충안은 상향식경선을 최대한 끌어올리자는 김무성 대표에게는 실리를, 현행 당헌 당규를 지켜야 한다는 친박계에는 명분을 주는 일종의 타협안이라는 평가다.

현행 당헌·당규에 따르면 국회의원 경선의 경우, 1000명 이상의 국민참여선거인단을 구성해 치르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당원 50%, 국민 50% 모두 현장투표 ▲당원 50% 현장투표, 국민 50%는 여론조사 ▲국민 100% 여론조사 등 크게 3가지 방식으로 경선을 치를 수 있게 돼 있다.

또 공천특위는 정치신인은 10%, 여성 정치신인과 장애인은 20%, 국가유공자는 15% 가산점을 부여하는 것으로 최고위에 보고했다.

▲전 현직 국회의원 ▲광역 및 기초단체장 ▲광역의회에서 재선 이상의 자 ▲당협위원으로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한 자 ▲다른 지역에서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다가 낙선한 자 등 5가지 항목에 걸리는 인사를 제외하고는 모두 정치 신인으로 분류했다고 보고했다.

논란이 됐던 청와대 참모 출신, 장·차관 등 고위직 인사의 경우, 위 5가지 항목에 해당되지 않을 경우 모두 정치 신인으로 분류해 가산점 10%가 부여된다.

이에 따라 정종섭 전 행자부 장관, 윤상직 전 통상산업부 장관, 곽상도 전 청와대 민정수석, 윤두현 전 청와대 홍보수석, 민경욱 전 청와대 대변인 등 소위 '진박 후보'들은 정치신인으로 분류돼 가산점 혜택을 받게 됐다.

최고위는 다만 공천특위가 여성 현직 비례대표 의원, 여성 전직 국회의원 등에 대해선 '정치 신인'으로 보지 않고 10% 가산점을 부여하지 않기로 했으나 '여성정치참여 확대' 차원에서 재검토를 요구했다.

공천특위가 최고위의 권고를 수용할 경우 전 현직 여성 국회의원도 10%의 가산점을 부여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결선투표에서도 가산점을 중복부여 하느냐의 문제가 논란거리가 될 전망이다.

공천특위는 일단 정치 신인에게 10% 가산점을 1차 경선과 결선투표 모두 중복 부여키로 했다.

하지만 여성 정치 신인의 경우 1차에서 20%, 2차 결선투표에서도 20%의 가산점을 부여받는다는 점이 문제로 떠올랐다.

새누리당 수도권 지역 예비후보 모씨는 “결선투표는 1대 1 박빙 구도여서, 20% 가산점은 그야말로 절대적”이라며 “남성 후보들이 여론조사에서 오차범위 밖의 압승을 해도 여성후보들을 이기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최고위는 공천특위에 결선투표에서도 가산점을 중복 부여하는 방안에 대해 재검토를 요구했다.

특히 최고위는 국회의원 출마를 위해 선출직을 중도 사퇴한 인사들에 대해 감점을 확대하라고 공천특위에 권고했다.

특위는 당초 중도사퇴하는 기초단체장의 경우 10%, 광역단체장의 경우 5% 감점하는 방안을 마련했으나, 최고위는 각각 20%, 10%씩 감점하라고 권고했다.

이밖에 최고위는 비례대표 여성배정 비율을 66.6%로 하는 특위 안에 대해 60%로 축소배정 할 것을 요구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