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이지윤 |
개인주의가 팽배한 현대사회에서 개인의 이기심은 결국 공동체 전체를 파국으로 몰고 간다.
우리에게 남을 희생시켜서라도 끊임없이 자기 이익과 권리의 극대화를 추구할 경우, 결과적으로 자신을 포함한 공동체 전부가 피해를 입게 된다는 것은 자명한 현실이다.
경찰력은 부자, 빈자, 남자, 여자, 노인, 소인 아무런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무형의 자원이며, 우리사회의 질서와 안전유지를 위해 무한히 공급되고 있다. 하지만 경찰력은 한정이 되어있어 무한히 공급될 수는 없는 것이다.
경찰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는 시간적으로 분초를 다투는 경우가 많고 적시에 공급되지 않을 경우 피해가 적지 않으므로, 구성원 모두가 아껴 써야 하며 꼭 필요한 사람이 적제적소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만 한다.
그러나 우리 현실은 어떤가? 개인의 이기심 때문에 무분별하게 경찰력을 사용하고 그로 인해 지금 이 순간에도 누군가는 비극을 당하고 있을 수 있다.
“아들이 돈을 가져간 후 연락이 없으니 아들을 찾아 달라”는 신고부터 술에 취해 기분이 나쁘다는 이유로 “경찰관을 보내 달라”는 화풀이용 신고, “유선TV가 나오지 않으니 안테나를 점검해 달라”는 황당한 도움요청 신고, 평소 경찰관이 싫다는 이유로 “죽은 사람이 있다”는 악의적인 거짓신고 신고로 필요한곳에 사용되어야만 할 경찰력이 엄청나게 낭비되고 있는 것 이다.
단순 민사문제는 개인간 합의나 민사소송을 통해 해결해야하고 거짓신고는 완전히 근절되어야 하며, 다른 각종 신고는 최후의 수단으로서 해야 한다.
경찰력은 한정된 자원으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켜내야만 함에도 불필요한 신고로 인한 신고 폭주로 인해 버거운 현실이다.
이러한 경찰력낭비의 현실이 근절되지 않고 지속된다면 누구든 비극을 맛볼 수도 있게 될 것이다. 그 피해자는 바로 나 자신일 수도 있으며 우리의 형제자매 일수도 있다는 점을 깊이 새겨야 할 것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