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서부소방서 예방안전과 이동희
![]() |
▲ 이동희 |
화기취급이 많은 겨울철을 맞아 시민들의 화재예방의식을 고취시키고 화재 발생 시 신속한 대응으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소방서에서는 겨울철 소방안전대책을 추진하는 등 화재예방을 위해 다양한 소방행정을 펼치고 있다.
소방관들은 평상시에도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주요 건축물의 소방시설을 점검하고 관계자의 자율안전관리 의식을 높이기 위해 노력을 다하고 있다.
소방관서의 재난대응 능력과 더불어 중요한 것이 바로 관계자의 안전의식이다. 초기 화재에 소화기는 소방차 한 대와 버금간다는 말처럼 각 건축물에 설치된 소방시설이 제때에 작동하고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정과 직장에서 소방시설의 위치를 파악하고 화재가 발생하면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추위가 다가오면서 불청객인 화재발생의 건수도 많아지는 계절에 별도의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재산과 생명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을 몇 가지 소개해 본다.
첫 번째로 정기적인 안전점검이다. 건축물에 설치된 피난설비, 소방시설 등 안전시설물에 대한 정기적인 점검을 실시해 필요할 때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관리하자. 자체점검은 연1회 이상 실시하도록 관련 법률에 정해진 만큼 실기(失期)하면 불이익을 받을 수도 있다.
두 번째로 비상구와 피난통로 확보이다. 비상구 등의 폐쇄 행위는 인명 피해와 즉결된다는 점을 각별히 유념하고 일명 비파라치(비상구 불법행위 신고포상금제) 신고로 피해를 입는 일이 없도록 해야겠다.
세 번째로 정기적인 소방안전교육이다. 사고예방은 무엇보다 관계인의 안전의식에서부터 시작된다. 최근의 대형화재만 보더라도 가볍게 간과하고 지나쳤던 조그마한 실수가 화재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네 번째로 소화기 갖기 운동에 적극 동참하자. 비록 화재가 발생했더라도 즉시 소화기로 대처해 대형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화재 초기의 소화기 한 대는 소방차 한대에 맞먹을 정도의 위력을 갖는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1가정, 1업소, 1차량 소화기 갖기 운동에 동참하자.
다섯 번째로 화재예방 환경조성으로 불조심을 생활화하자. 화재는 예고가 없다. 사소한 부주의로 말미암아 작은 화재가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사소한 방심과 부주의를 일깨워 줄 수 있는 불조심 플래카드나 현수막을 설치해 화재예방 환경을 조성하자.
안전부문에서 사후약방문은 도움이 되지 않는 만큼,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화재가 난 후에 외양간을 고쳐도 죽은 소는 다시 살아나지 않는다. 무더위에 느슨해진 안전의식을 성큼 다가온 한파와 함께 다시 한번 여밀 시기가 되었다. 화재 없는 나라 대한민국 만들기에 모든 시민이 함께 동참하기를 바란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