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김팔환 |
금년 겨울은 예년에 비해 겨울인지 봄인지 의심이 생길만큼 이상 고온현상으로 포근한 날씨가 계속돼 봄에나 볼 수 있는 봄꽃이 피어나는 기현상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겨울철인 만큼 아침, 저녁으로 난방을 하지 않고서는 추운날씨를 보내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겨울을 나기위해 많은 난방기구들을 사용하고 있지만, 그 중 겨울철 화재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화목보일러에 살펴보고자 한다.
요즘 경제 한파란 이유로 지방 및 도시인근, 농촌지역에서는 나무를 재료로 땔감으로 사용하거나, 나무와 유류를 혼용하여 제작돼 고유가 시대에 난방비 절감효과로 인한 화목보일러 사용인구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그에 따른 제품안전 및 사용자의 화재안전의식은 개선되지 않고 있어 화재에 취약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는 해마다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고 연간 수십억에 달하는 재산 손실을 입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어 이에 대한 소방안전대책과 사용자의 안전관리가 절실히 요구된다.
최근 늘고 있는 화목보일러 화재는 늦가을부터 겨울철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보일러의 과열, 보일러 근처에 놓은 가연물, 연통과열에 의한 화재 순으로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모든 원인이 사용자의 관리상의 부주의가 원인임을 인식하여 화재 없는 안전한 겨울을 보낼 수 있도록 아래 안전수칙에 대하여 당부하고자 한다.
첫째 화목보일러는 콘크리트 바닥이나 금속 같은 불연재로 구획된 별도의 실에 설치하기.
둘째 보일러 주위에는 땔감용 재료와 나무 부스러기 등 가연물을 쌓아두지 말고 2m 이상 이격거리 유지하기.
셋째 연통은 화기가 새어나올 구멍이 없어야하고 처마 및 지붕 등 건축물의 접촉면으로부터 충분한 이격을 두고 열의 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단열판 설치하기.
넷째 보일러나 난로에 불을 지펴둔 상태로 장시간 자리를 비우는 일이 없도록 하기.
다섯째 보일러 주변에는 소화기를 비치해 유사시 즉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할 것 등이다.
마지막으로 화목보일러는 대부분 태우고 난 재를 그대로 버리거나 방치하게 되는데 이때 잿더미에 남은 불씨가 바람에 날려 주변 가연물이나 산불화재를 발생시킬 수 있으니, 반드시 잿더미에 물을 뿌려 불씨를 제거하고 흙으로 덮어 불씨가 재 발화하지 않도록 다시 한 번 확인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설마..... 우리 집은 아니겠지’라는 생각보다는 사용 중인 화목보일러 등 난방기구에 대한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우리가정 소방시설을 설치해 화재로부터 안전한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