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정ㆍ형곡ㆍ인동ㆍ진미지역 대대적 보행로 정비
[구미=박병상 기자] 경북 구미시는 전체 인구의 33%를 차지하는 노인(5만3131명), 장애인(1만7321명), 아동ㆍ청소년(6만5935명), 임산부(1756명) 등 보행약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도시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미형 무장애 도시’ 조성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이번 사업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살아가는 포용적 도시로 발전하기 위한 중요한 첫걸음이다.
시는 올해 5000만원을 투입해 무장애 도시 실현을 위한 중장기 사업 추진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을 시작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2026년부터 2030년까지의 5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단계적으로 체계적인 무장애 환경을 구축한다.
보행로 정비 작업도 한창이다. 지난 2024년부터 10억원을 투입해 송정ㆍ형곡 지역에서 고원식 횡단보도 설치, 경사로ㆍ점자블록 정비, 경계구간 높이차이 제거 등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올해 5월에 완료된다.
금오산 잔디광장에서 진행 중인 램프폭 확대와 점자블록 정비도 5월 중 마무리된다.
올해는 추가로 10억원을 투입해 인동ㆍ진미 지역으로 사업 범위를 확장해 균형 잡힌 무장애 도시 환경을 만든다.
이달부터 경계구간 단차 제거, 경사로 완화, 훼손된 점자블록 정비 등을 통해 시민들이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개선할 계획이다.
또 버스승강장에는 미끄럼 방지 논슬립을 설치해 겨울철 미끄러짐 사고를 예방하며, 어린이보호구역에는 경계석 논슬립을 설치해 보행자와 운전자의 시인성 향상 및 어린이 미끄럼 사고 방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시는 향후 ‘구미형 무장애 도시’를 지역내 모든 공공기관과 주요 도로로 확장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시가 무장애 도시로서 대한민국내 대표적인 모델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