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은영 전남도의원, “무책임한 정부 정책에 10년마다 한우 파동··· 수급조절시스템 마련을”

황승순 기자 / whng04@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4-07-17 17:02:1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5분발언
"지속 가능 생태계 조성 필요"
▲ 장은영 의원이 16일 제383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제안설명하고 있다. (사진=전남도의회 제공)

 

[남악=황승순 기자] 장은영 전남도의회 의원이 제383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무책임한 정부 정책에 10년마다 찾아오는 한우 파동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시급히 대책을 수립하길 정부에 강력히 촉구했다.


특히, 전라남도의 경우 한우 사육 농가 수가 1만5609호, 총 62만1976마리를 사육하고 있으며, 이는 전국 사육두수의 약 18%로 경북에 이어 전국 두 번째 규모로 한우 파동에 큰 영향을 받는다.

장은영 의원은 “농가는 소득 확보를 위해, 가격이 높아지면 기대감 때문에 생산량을 늘리는 것이 매우 일반적인 의사결정이다”며 “정부가 적정 한우 사육두수를 농가에 안내를 하지만 강제할 방법도 없을뿐더러 농가에서 지키지 않는다는 말만 되풀이하며 자업자득이라는 식의 태도로 일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꼬집었다.

이어 “우리나라 소고기 전체 소비량의 60%는 수입산으로, 곧 프랑스 및 아일랜드산 소고기도 수입 대열에 합류할 예정이라 우리 한우가 설 자리는 점점 더 줄어들고 있다”라며 “더 늦기 전에 정부는 한우 출하 기간을 염두하고 사육두수가 늘어나기 시작하면 2~3년 내 감축하고, 사육두수가 감소하기 시작하면 2~3년 내 암소 사육두수를 늘리는 등의 적극적인 한우 수급조절시스템을 마련해 지속 가능한 생태계를 만들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덧붙여 장 의원은 정부가 가격 변동 폭을 최소화해 소비자·생산자 모두의 부담을 낮춰 지속 가능한 생태계를 만들어야 하며, 경영 악화로 붕괴하고 있는 한우 농가의 목소리를 잊지 말고 긴급 경영 안정 방안을 마련하도록 촉구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