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금천구(구청장 유성훈)와 금천문화재단은 오는 27~28일 양일간 금천구 은행나무로 일대에서 ‘2025 금천시흥행궁문화제’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인근에서 하루 전날인 26일부터 지역 대표 축제인 ‘2025 별장길 브랜드 축제(부제: 소원성취페스타 소·성·페)‘도 열려 축제의 한마당이 펼쳐질 것이라고 구는 설명했다.
구에는 시흥행궁이 있다. 시흥행궁은 정조대왕이 1795년(을묘년) 어머니인 혜경궁 홍씨의 회갑을 맞이하여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소를 참배하기 위해 진행한 ‘정조대왕 능행차 행렬’이 8일간의 여정 중 하루를 머무른 곳이다.
구는 시흥행궁의 역사적 배경과 자료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올해 처음으로 지역 특화 문화예술축제인 ‘금천시흥행궁문화제’를 연다. 서울시와 경기도, 수원시, 화성시가 함께 진행하는 축제 ‘정조대왕 능행차 공동재현’과 연결해 모두의 축제로 선보인다.
주제는 ‘만천명월(萬川明月), 금천을 밝히고 춤추게 하다’다. 만천명월은 만 개의 개울을 비추는 밝은 달이라는 뜻으로 정조대왕이 자신의 정치를 모든 사람에게 골고루 베풀겠다는 뜻이 담겨있다. 시흥행궁을 통해 구현된 정조대왕의 뜻이 현재에도 이어져 금천을 밝히고 춤추게 한다는 의미를 담았다.
27일에는 금천시흥행궁문화제 개막공연, 주민 참여 퍼레이드 공연이 펼쳐지며, 28일에는 정조대왕 능행차 공동재현을 중심으로 축제가 진행한다.
또한 축제 기간 동안 전통연희 공연, 격쟁 상황극, 지역 예술가 협업 공연과 역사 특강 등을 마련해 참여자에게 의미 있는 시간을 선사할 예정이다. 특히 역사학자 김재원의 특강으로 정조대왕과 시흥행궁의 의미를 축제 방문객에게 쉽고 재밌으면서도 학술적 깊이까지 놓치지 않고 전할 예정이다.
남녀노소 함께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전통 체험 프로그램도 마련됐다. 대형 반차도(班次圖) 색칠하기, 입체(3D) 시흥행궁 만들기, 등롱 제작, 자개 키링 만들기 등 전통 공예 체험과 전통 먹거리를 맛볼 수 있는 부스를 운영한다. 참여를 희망하는 사람은 누구나 축제 현장에서 무료로 즐길 수 있다.
이와 함께 금천문화재단 누리집에서 사전 예약을 통해 참여할 수 있는 전통 다례 체험(만천명월예술인가 예향당)과 시흥행궁 도슨트 프로그램(시흥행궁전시관)도 진행된다.
이뿐 아니라 별장길, 은행나무시장, 오미생태공원 일대에서는 26~28일 지역 대표축제인 ‘2025 별장길 브랜드 축제(부제: 소원성취페스타 소·성·페)’도 열린다. ‘달에게 소원을 빌어 모든 소원이 이루워진다’라는 컨셉으로 주민들이 잠시나마 시름을 잊고, 상권 활성화 효과도 이루어지도록 기획됐다.
서영철 금천문화재단 대표이사는 “‘만천명월’처럼 밝은 달빛이 천 개의 개울을 비추듯 이번 축제가 금천의 모든 이웃과 방문객을 환하게 밝히는 자리가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유성훈 구청장은 “금천시흥행궁문화제는 금천구의 중요한 역사문화 자산을 통해 과거와 현재, 예술과 주민이 함께 호흡하는 축제”라며 “능행차를 통해 백성과 소통하며 백성의 삶을 살피던 정조대왕을 기억하며 주민들이 살기 좋은 금천으로 가꾸기 위해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