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이대우 기자] 북한으로 추정되는 해킹 세력이 정부 전 부처끼리 문서 공유, 결재 등이 가능하도록 ‘통합 시스템’ 구조로 운영돼왔던 범정부 전자문서관리시스템, ‘온-나라’ 개발업체를 해킹한 사실이 드러나 정부 당국이 피해 규모 등에 대한 조사에 나섰다.
11일 동아일보 보도에 따르면 정부 당국은 지난해 말, 온-나라 개발 및 구축, 운영 등을 담당해 온 A 업체 서버에서 관련 자료가 대거 탈취된 상황을 인지했다.
이와 관련해 온-나라 프로그램 구조는 물론이고 해킹 취약점이 고스란히 북한에 노출됐다면 사이버 보안에 치명타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번 해킹을 통해 취약점을 파악한 뒤 향후 정부망에 대한 직접적인 해킹으로 정부 행정망을 마비시키고 민감 문서 등에 대한 탈취 가능성이 현실적인 문제점으로 대두되면서다.
정부당국도 북한이 이번 해킹과 유사하게 정부나 대기업을 대상으로 한 직접 침투 대신 보안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민간 중소업체를 우회 해킹하는 방식으로 정보 탈취에 주력하고 있다는 판단이다. 특히 2023년 말 이후 김정은이 ‘적대적 두 국가론’ 기조를 강화하면서 우리 정부를 겨냥한 해킹 공격 사례가 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지난 2024년 대형 방산기업의 협력업체가 해킹을 당해 우리 군 핵심 대북 공중정찰 자산인 백두ㆍ금강 정찰기 관련 자료들이 상당수 유출되거나 장갑차ㆍ미사일ㆍ레이더 등 주요 무기체계 핵심 부품을 생산하는 협력업체의 기술 상당수가 탈취된 바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