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민경매 의원 / 해남군의회 제공 |
인구정책은 가장 기본이 청년정책으로 일자리, 주거, 결혼, 출산, 보육과 교육문제 해결로서 해남군을 비롯해 각 지자체는 생활인구 늘리기, 다양한 청년정책 등을 계획해 인구소멸 위기 극복에 노력하고 있다.
해남군은 금년 5월말 인구 기준 62,668명 중 청년인구(19~49세)가 (15,166명) 24.2%를 차지한 반면, 신 중년 층인 50대, 60대는 무려 39.7%가(24,869명) 거주한다. 75세 이상 노령인구는(4,934명) 17.8%를 차지하고 있다.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24,936명으로 38.2%가 돼 초 고령화에 이미 진입됐다.
그나마 2024년 기준 공익직불금 지급대상 농민 15,573명 중 50대, 60대 신 중년 층 농민이 6,713명으로 43.1%를 차지하고 있어, 농업.농촌.농민을 지켜내고 있다.
50대 후반에서 60대 세대는 수 십 년 간 가정과 농촌경제를 떠 받쳐 온 주역이었지만 지금은 은퇴 후 생계와 역할의 불안정 속에 살고 있다.
민경매 의원은 이와 같이 군 관내의 급속한 노령화에 대비해 그 잠재력을 살려 맞춤형 일자리 전략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이를 위해 신중년 세대들이 우리고장을 떠나지 않고, 돌아오고, 다시 찾아오게 하려면 먼저, 은퇴 후 고향에 남아 귀농‧귀촌 컨설턴트, 청년농부멘토, 농촌교육강사로 활동 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고, 군이 운영하는 공공기관이나 마을단위 공동체에서 이들을 전문인력으로 고용, 활동비 지원, 역량교육 보장 등 농촌형 사회공헌 일자리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두 번째, 노인돌봄, 장애인지원, 농한기 간병서비스 같은 분야에 투입, 해남형 공공돌봄 협동조합을 설립해 신중년층이 직접 운영주체가 되는 시스템 구축, 일자리 창출과 지역돌봄 복지를 동시에 실현해 지역돌봄과 복지중심의 일자리 창출을 건의했다.
민경매 의원은 이어, 신중년 대상 소규모 창업과 지역경제 참여 활성화로 막걸리 제조, 전통장류 제조, 로컬푸드마켓 전담, 가공‧판매와 농촌관광과 연계한 창업 등은 신중년의 경력을 살려 나갈 것을 주문했다. 또한 맞춤형 창업교육확대, 공공 유휴공간제공, 권역별 로컬마켓 운영, 식품사막화 된 마을 관리 등, 신중년이 소비자가 아니라 생산과 유통의 주체가 되도록 해야 신중년 세대들이 떠나지 않고, 고향으로 돌아오고, 살고 싶어 찾아오게 함으로써 해남군의 인구는 지켜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