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영희 인천시의원 |
인천시의회 신영희 의원은 5일 열린 ‘제302회 정례회 제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사회적기업 제품의 지역 내 소비와 선순환 생태계 조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신 의원은 “현장에서 ‘사회적기업 제품이 좋은 것은 알지만 어디서 살 수 있는지 모르겠다’는 목소리가 많다”며 “유통 플랫폼 접근성 부족 등 구조적 한계가 인천 사회적경제 활성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인천지역 사회적경제 기업은 2016년 532개에서 올해 1천211개로 증가했지만 옹진군(44개), 강화군(79개) 등 외곽·도서지역은 소외된 상황이다. 공공기관의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율 역시 6.58%로 전국 평균(8.9%)보다 낮다.
신영희 의원은 “서울과 경기 등은 사회적경제 제품 구매 목표제, 민간 쇼핑몰 연계, 임팩트 펀드 등 다양한 정책을 이미 도입해 실적을 내고 있다”면서 “인천 역시 보다 적극적이고 구조적인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 의원은 유통 구조 혁신을 비롯해 지역기부 플랫폼 진입 장벽 완화, 공공 및 민간 소비 확대, 시민 참여형 가치소비 확산, 지역 간 격차 해소 맞춤 지원,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 조성 등 6대 정책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안했다.
그러면서 “분산된 유통 플랫폼을 ‘인천형 통합브랜드’로 일원화하고 민간 온라인몰과의 연계도 강화해야 한다”며 “사회적기업 상품이 고향사랑기부제 등 각종 플랫폼에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행정 절차를 간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