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 709개 중 373개 완료
오늘부터 '하늘장사정보'가동
1·2등급 33개 대체 서비스 중
[시민일보 = 박소진 기자] 정부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마비된 행정 정보 시스템의 절반 이상을 복구하며 정상화 단계에 들어섰다.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안부 장관)은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중앙재난안전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전체 정부 행정 정보 시스템 복구율이 50%를 넘어서면서 복구 상황이 점진적 회복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고 밝혔다.
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기준 전체 709개 정부 행정 시스템 가운데 373개(52.6%)가 복구됐다. 국민 생활과 밀접한 1등급 시스템 복구율은 77.5%, 2등급 시스템은 64.7%에 달한다.
윤 본부장은 "보건복지부의 '장기조직혈액종합관리시스템' 복구로 장기 이식 환자의 수술 일정과 혈액 공급 관리가 정상화됐고, 내일부터는 'e하늘장사정보시스템'이 복구돼 온라인 화장장 예약 신청도 정상적으로 이용하실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소방청의 '구조·생활 안전활동정보시스템' 등 긴급 대응 관련 시스템도 복구가 완료됐다.
윤 본부장은 "7전산실의 스토리지(데이터 저장장치) (4개의) 복구가 완료됐다"며 "데이터 복원 기반이 확보된 만큼 시스템 복구가 큰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정부는 화재 피해를 입은 전산실 복원과 동시에 공주센터 등에 보관된 백업데이터 복구도 병행하고 있다.
정부는 현재 미복구 시스템으로 인한 행정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분야별로 대체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특히 복구되지 않은 1·2등급 시스템 33개는 모든 시스템이 서비스 대체 수단을 확보해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예를 들어 국민신문고는 각 시군구의 새올 상담 민원창구를 통해 접수할 수 있고, 고용 노동 분야 민원은 '노사누리' 임시 홈페이지와 지방 고용노동관서 방문 접수를 통해 처리 가능하다.
정부는 시스템별 복구 상황에 맞춰 전산장비를 도입 중이다. 현재 서버 159식, 네트워크 90식을 포함한 총 319식의 장비를 도입했다.
윤 본부장은 "남은 복구 과정에서도 서비스의 안전성과 데이터 보존을 최우선으로 해서 복구를 진행해 나가겠다"며 "복구가 장기화하고 있는 만큼 작업 여건을 세심히 관리하고 무리한 일정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해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