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한나라당을 생각한다

시민일보 / / 기사승인 : 2005-01-23 20:38:13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홍 준 표 국회의원 {ILINK:1} 며칠 전 공개된 한일회담 관련 서류를 출발점으로 이 정권의 과거사 규명작업은 본격적인 출발점에 서게 되었다.

해방이후 건국시대를 거쳐 조국 근대화 시대에 이르는 동안 이 땅의 주류를 이루어온 ‘메인 스트림’에 대한 과거사 평가 작업이 바야흐로 긴 여정에 오르게 된 것이다.

그것도 그 동안 부각되어 온 긍정적 측면보다 오로지 부정적인 측면에서의 과거사 평가 작업이 본격화 될 것이다.

DJ가 집권했던 시기에는 그들이 비록 집권은 했지만 외환위기 해결이 급선무였고 또 소수집단에 불과했기 때문에 한국사회의 주류와 타협을 통한 정권유지가 불가피 했다.

그러나 DJ 정권 5년 동안 집권 경험을 바탕으로 재집권에 성공한 노무현 정권은 이제 한국사회의 주류를 바꾸기 위한 대장정으로 과거 주류세력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 작업을 시작한 것이다. 그 대상으로 이 정권은 박정희 시대를 꼽고 있다.

그러나 그들에게는 이제 마지막 철옹성으로 남아 있는 박정희 시대를 부정의 시대로 만들어야 할 역사적인 과제가 남아 있는 것이다.

박정희 시대조차 부정의 시대로 만들어야지 이제 그들은 한국사회의 ‘메인 스트림’을 바꾸고 그들이 주류가 되기 때문이다.

향후 21세기를 주도할 역사적 정당성을 가진 세력은 오로지 자신들 뿐이라는 것을 국민들에게 명확히 인식시켜야만 또다시 정권 재창출이 가능하다고 지금 그들은 철석같이 믿고 있다.

차기 정권을 향한 대선레이스는 과거사 들추기, 과거역사 부정하기를 작업 하면서부터 이미 시작된 것이다.

그에 따라 한나라당과 박근혜 대표는 이제 그들이 파놓은 과거사의 늪에 빠지기 시작했다.

끊임없이 조여오는 개발독재시절의 인권침해사건, 부정적인 사건들이 앞으로 차례차례 공개되면서 이제 한나라당은 이를 방어하기에만 급급한 과거 집착형 구세력으로 몰리게 될 것이고 미래 비전을 제시하는 21세기 희망의 정당으로 나아가기에는 힘든 역경이 우리 한나라당을 가로 막고 있다.

과거사의 문건이 공개되고 영화와 드라마로 전개될 때마다 박근혜 대표와 한나라당은 좋던 싫던 간에 과거와의 전쟁을 피할 수 없게 되었고 우리가 과거사건에 대한 변명과 변호에 열중할 동안 이 집권세력들은 미래로 미래로의 전진을 외칠 것이다.

이회창 총재에 이은 참으로 끔찍스런 악몽과 함정이 한나라당과 박근혜 대표를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

지난 8년 동안 우리 한나라당은 한국보수의 최고의 인물인 이회창을 내세우고도 대선에서 두 번이나 패배하였다.
그들의 집요하고 치밀한 공작과 선동, 선전에 의해 이회창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만 덧씌움을 당한 채 우리는 두 번이나 대선에서 패배했다.

우리 한나라당은 지난 8년 동안 이회창 후보의 주변문제와 가족문제에만 매달려 그것을 변호하고 막는데만 전력을 기울여 왔다.

국민들에게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던 병역 문제만 하더라도 사법적으로는 무죄를 받았지만 정치적으로는 유죄선고를 받을 수밖에 없었던 그때의 상황을 우리는 치열하게 반성해야 한다.

이회창 후보에 대한 가족문제(아들병역, 빌라 등)에 대해서 대처할 때 정작 당사자인 후보 본인은 뒤로 빠져있었고 한나라당과 소속 국회의원들만 전면에서 대리전쟁을 한 결과 우리는 이성(理性)에서는 이겼으나 감성(感性)에서는 져버렸다.

그 당시에도 후보에게 본인이 직접 나서서 정면 돌파를 해줄 것을 수차례 건의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이회창 후보의 가족문제는 한나라당의 문제로 간주되어 한나라당도 부정적인 면을 공유할 수밖에 없었다.

나는 두 번에 걸친 대선실패의 현장을 생생하게 지켜보면서 마지막 승부가 될지도 모르는 2007년 12월의 대선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이 시점에서 우리는 이회창 후보에 대한 두 번의 실패를 냉정하게 거울삼아야 한다.이제 더 이상 그들의 공작에 넘어가서는 아니 될 것이다. 박근혜 대표는 이 점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한나라당과 박근혜 대표는 일체(一體)일 수가 없다. 야박한 말일지 모르지만 대표는 바뀔 수 있지만 한나라당은 영원해야 하기 때문이다. 과거 일인 지배체제정당 시대에는 정당대표가 바로 그 정당일 수 있지만 이제는 시대가 변했다.

한나라당이 두 번에 걸쳐 대선에 실패한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당과 총재를 동일시 할 수밖에 없었던 대안부재론(代案不在論)에 기인한다고 아니 할 수 없다.

박근혜 대표에게 권하고 싶다.

이제 박정희 대통령의 그늘에서 벗어나 홀로서야 한다.

과거사 문제에 대해서도 박대표 스스로 앞장서서 한나라당과 무관하게 자신의 문제로 국한하여 당당하게 맞서주기 바란다.

그래야만 박 대표가 이 땅의 지도자로 거듭날 수 있고 그들의 음습한 책동도 분쇄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제 우리 한나라당은 과거와의 전쟁에서 벗어나야 한다.

한나라당이 그토록 벗어나고자 했던 5·6共 탈출이 3共으로 돌아가는 우(愚)를 범해서는 아니 된다.

이제 한나라당은 민정당, 민자당, 신한국당이 아닌 미래지향적 세력이 모인 21세기 대한민국의 희망이 될 수 있는 열린 정당으로 거듭나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더더욱 한나라당은 이제부터라도 과거와의 전쟁에서 의연해야 한다.

다시 한번 한나라당 미래를 냉철하게 생각해야 한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