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풍 노풍 북풍’ 3대 변수

고하승 / / 기사승인 : 2010-05-02 09:16:29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시민일보] 6.2 지방선거의 주요 변수는 이른바 ‘박풍’,‘노풍’,‘북풍’ 등 3풍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박풍= 일단 한나라당은 고전이 예상되는 이번 지방선거에서 ‘박풍(박근혜 바람)’을 기대하며, 박근혜 전 대표의 선거지원을 강력히 요청하고 있는 상태다.

실제 박 전 대표를 향한 주류 측의 `러브콜'이 잇따르고 있다.

지방선거기획위원장인 정두언 의원은 최근 "지방선거를 앞두고 화합된 당의 모습을 보여주는 게 가장 큰 과제"라며 박 전 대표가 선거지원에 나서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는가 하면, 정병국 사무총장은 지난 28일 박 전 대표에게 지방선거 지원을 공개적으로 요청하기도 했다.

정 총장은 이날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당의 입장에서 아주 중요한 자산 중의 한 분이신 박 전 대표께서 이번 지방선거를 도와주신다면 상당히 큰 성과를 낼 것”이라며 박 전 대표의 협조를 강력히 요청했다.

이어 그는 “직접적으로 제가 아직 말씀을 못드렸지만 본격적으로 선거 체제를 갖춰갈 때 한번 보고를 드리고 말씀을 여쭐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박 전 대표가 주류 측의 이같은 요청을 수락할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친박계 허태열 최고위원은 29일 "당을 책임지는 분들이 선거도 이끌어가는 것이 정론"이라고 강조했다.

허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KBS라디오 ‘홍지명의 안녕하십니까’에 출연해 "박 전 대표도 항상 이야기하지만, 지금 당을 책임지는 대표와 최고위원, 온갖 당직자들이 맡아서 당을 위해 일하고 있지 않느냐"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그는 "만약 책임이 없는 사람들까지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면 당에 여러 가지 메시지가 전달되고 혼선이 생길 수 있다"며 "원칙적으로 당을 책임지는 사람이 선거를 이끌어가는 것이 당연하다는 입장을 박 전 대표도 갖고 있다"고 전했다.

이는 ‘당 지도부의 책임 아래 선거를 치러야 한다’는 박 전 대표의 기존 입장이 바뀌지 않았음을 뜻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한나라당 주류 측의 뜻과는 달리 이번 지방선거에서는 ‘박풍’은 기대하기 어렵다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노풍= 민주당은 1년 전 500만 추모인파를 통해 확인된 ‘노무현’의 위력이 이번 지방선거에도 재연되기를 잔뜩 기대하는 분위기다.

실제 다음달 초부터 노 전 대통령의 1주기 추모행사가 시작된다. 노무현재단이 주최하는 추모 전시회가 5일 서울에서 열리는 것을 시작으로 예술인과 각계 저명인사 등이 출연하는 추모 콘서트가 8일부터 서거 당일인 23일까지 서울, 광주, 부산 등 전국 5대 도시를 순회하며 열린다.

따라서 노풍(노무현 바람)이 전국을 휩쓸 가능성을 배재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미 한나라당의 전통 텃밭인 경남과 자유선진당 텃밭인 충남에서는 노풍의 위력이 나타나고 있다.

‘리틀 노무현’으로 불리는 김두관 전 행정자치부 장관이 무소속으로 출마한 경남도지사 선거는 한나라당 후보인 이달곤 전 행정안전부 장관과 오차범위 내 초접전을 벌이고 있으며, ‘노무현 복심’으로 통하는 안희정 민주당 최고위원이 출마한 충남도지사 선거는 한나라당 후보와 자유선진당 후보를 제치고 압도적인 지지율로 1위를 달리고 있다.

이 같은 노풍이 수도권으로 불어올 경우 서울과 경기 인천 선거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실제 서울시장 예비후보인 한명숙 전 국무총리의 무죄판결 이후 서울에도 노풍 기운이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

◇북풍= 한나라당은 ‘노풍’을 차단하기 위한 방편으로 ‘북풍’(북한 바람)이 불어주기를 은근히 기대하는 분위기다.

항상 선거 때마다 ‘단골손님’처럼 등장하는 북풍은 이번 지방선거에서도 최대 변수 중 하나로 꼽힐 만큼, 위력적인 것이 될 것이란 분석이다.

실제 천안함 침몰 사건이 ‘북풍’으로 인해 한나라당에게는 오히려 유리하게 돌아가는 기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당초 사고 수습이 제대로 안 되고 대통령의 지지율이 크게 출렁였을 때만 해도 천안함 사건은 6·2지방선거를 앞두고 여권에 치명타가 되리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어떻게 이런 정부를 믿고 국민의 안위를 맡기겠느냐'는 '안보 무능론'에 무게가 실릴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부 정부 측 관계자들이 “명확하게 드러난 것은 없다”면서도 은근히 ‘북한 개입설’을 흘리자 상황은 달라지기 시작했다.

실제 한나라당 정병국 사무총장은 "군함 한 척이 공격당한 게 아니라 대한민국이 공격당했다"라며 북한 개입설을 기정사실화했는가 하면, 나경원 의원도 "지난 10년 동안의 북한 퍼주기가 어뢰가 되어 돌아왔다"며 역시 북한 개입설을 기정사실화하고 나섰다.

하지만 가장 많은 정보를 갖고 있는 미국은 30일 “북한 개입 여부를 객관적인 조사 결과가 나오기 전부터 예단해, 행동하는 것은 올지 않다”며 ‘북한개입설’에 쐐기를 박았다.

제프 모렐 미국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천안함 사건 조사 진행 상황과 관련된 질문에 “조사가 진행중”이라면서 “아직 결론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안다”며 이같이 밝혔다.

따라서 여권의 의도적인 ‘북풍’ 띄우기에도 불구 파괴력은 그리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특히 “안보에 구멍이 뚫린 것은 이명박 정권의 안보 무능탓”이라는 비판을 받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영란 기자 joy@simino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하승 고하승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