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쇄신해법 찾기 쉽지 않다

주정환 / / 기사승인 : 2011-11-10 13:24: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김미현 소장, “구조쇄신-정책쇄신-인적쇄신, 각파 이해관계 달라”
[시민일보]10.26 재보궐선거 패배 이후, 한나라당 내부에서 각종 쇄신안이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현재 정치구도 상 쇄신해법을 찾기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DSR 김미현 소장은 10일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패배한 한나라당이 쇄신안 마련에 지금 분주하지만, 당 쇄신안이 분란 조짐까지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김 소장은 이날 PBC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에 출연, “특히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서울. 수도권 의원 등을 중심으로 위기감이 최고조에 달한 상태지만, ‘근본적 변화가 필요하다’는 원론적 이야기만 있을 뿐, 현재로서는 오리무중”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또 “지금 언론에 거론되고 있는 일부 쇄신안을 보면, 크게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중앙당사폐지 등 구조적인 쇄신과 정책기조 변경을 통한 쇄신안, 그리고 인적쇄신을 통한 쇄신안이 있다. 그러나 각 세력 간 이해관계가 너무 다르다. 예를 들면, 친박계는 인적쇄신보다는 정책쇄신을 더 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나라당 쇄신 해법에 대해 “소통과 경제”를 꼽았다.

김 소장은 먼저 “한나라당은 소통을 통한 창조적인 파괴에서 해법을 찾아야 할 것 같다. 한나라당이 이렇게 위기에 처한 가장 큰 이유는 국민들이 생각하기에 한나라당과 대통령이 여론을 전혀 모르고 있거나 아니면 관심이 없다고 생각하는 비중이 높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지난 7월 여론조사에서 집권여당이 여론이나 민심을 모르고 있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41%, 알고 있으나 관심이 없다는 의견은 21.4%, 잘 알고 있다는 의견은 37.8%였다.
김 소장은 “전체적으로 약 60%의 국민들이 집권여당과 전혀 피드백(feedback)이 되지 않고, 소외받고 있다는 인식을 하고 있었다. 특히 집권여당과 대통령이 여론과 민심을 전혀 모르고 있다고 생각하는 국민들은 집권여당에 안티(anti) 수준의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 됐다”며 “한나라당은 부정적인 소통만 한 것 같다”고 꼬집었다.
또 그는 “국민들의 경제 상태인식과 집권여당 지지율간의 상관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국민들이 자신의 경제 상태를 부정적인 상태로 인식하는 비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집권여당에게는 불리하다”며 “이에 대한 대책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야권통합 움직임에 대해 김 소장은 “친노세력과 손학규 민주당 대표 간에 일정부분 교감하는 부분이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선통합을 두고 민주당의 내홍도 만만치 않다”며 “박지원 전 원내대표와 김부겸 의원 등 민주당 일부에서 ‘선 민주당 혁신, 후 야권통합’을 주장하는 세력도 만만치 않다”고 밝혔다.
한편 한미 FTA 비준안 처리 문제와 관련, 김 소장은 “2004년부터 2006년 까지 실시된 한미FTA 관련 여론조사결과를 보면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는 한미 FTA 찬성율은 평균 40%였다”며 “그러나 지금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평균적으로 찬성율은 그때보다는 높은 50% 대를 형성하고 있는 것 같다”고 밝혔다.
그러나 그는 “ISD(투자자 국가소송제)에 대해 야권이 문제 제기후 반대여론이 조금씩 상승하고 있는 것 같다”며 “한미 FTA는 비준이 되었다고 해서 끝나는 것이 아니고 새로운 갈등의 시작일 것 같다”고 말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주정환 주정환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