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박근혜 ‘구원투수’ 등판 초읽기

최민경 / / 기사승인 : 2011-12-11 11:50: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시민일보]여권의 유력대선주자이자 한나라당의 최대 주주인 박근혜 전 대표가 이르면 이번 주 당 운영의 전면에 나설 전망이다.

홍준표 대표가 지난 9일 사퇴하면서 지도부 공백 사태를 맞은 한나라당은 이번 주 중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 박 전 대표에게 비대위원장을 맡길 것으로 알려졌다.

11일 한나라당에 따르면대표 권한대행을 맡고 있는 황우여 원내대표를 비롯해 당내 친박(박근혜)계와 소장파 대부분이 박 전 대표가 당의 전면에 나서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 황 원내대표는 향후 당 운영 방향과 관련, "가능한 한 빨리 박근혜 전 대표에게 (당 운영을) 넘기려고 한다"며 "박 전 대표가 원하는대로 해서 빨리 넘겨야 한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나경원 최고위원이 사퇴하지 않으면 당 대표직을 승계할 수 있어 비대위를 구성할 수 없다"며 "그 부분이 정리돼야 비대위를 구성해 박 전 대표가 비대위원장으로 최고위원회의를 운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그는 "박 전 대표가 일하는데 걸림돌이 될 부분을 제거해야 한다"며 “당 중진과 각 계파별로 생각이 있겠지만 다수의 생각이 비대위 구성으로 가고 있는 만큼 그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밝혔다.

당내 친박계들의 움직임도 포착되고 있다.

한나라당 3선 이상 중진 의원들은 12일 친박계 홍사덕 의원 주도로 조찬회동을 갖고 빠른 시일내 비상대책위를 구성, 박 전 대표를 비대위원장으로 추대하자는 의견을 모을 것으로 알려졌다.

소장파 초선모임인 '민본21'도 박 전 대표가 이끄는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한 후 신당 창당, 재창당 등을 포함해 강도 높은 당 쇄신책을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 한나라당 이주영 정책위의장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국민들이 보고 듣고 가슴으로 느낄 수 있는 쇄신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 정책위의장은 "지금까지처럼 계파의 이익을 챙기거나 (국민들에게) 기득권 다툼으로 비칠 수 있는 쇄신으로는 안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또 그는 "식당 주인이 장사가 잘 안된다고 간판을 바꾸고 인테리어를 한다고 해서 장사가 바로 잘 되지는 않는다"며 "음식이 맛있어야 손님이 많이 올텐 데 주방장에 문제가 있으면 주방장을 바꾸고, 메뉴가 신통치 않으면 메뉴를 개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쇄신도 국민들이 공감하고 인정하는 방향으로 돼야 한다"며 "당이 위기에 처해 힜는 상황에서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갈 수 있는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내일(12일)부터 당내 최다선 의원인 홍사덕 의원, 정몽준 전 대표 등 3선 이상 중진 의원들이 모이는 등 당내에서 활발한 의견 교환과 수렴과정이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당내 화합과 통합을 잘 이뤄가고 쇄신을 잘 해나갈 수 있는 구체적인 안을 만드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두언 의원은 박근혜 전 대표가 이르면 이번 주 당 운영의 전면 나서는 것과 관련, "박 전 체제의 사명은 강력한 리더십을 바탕으로 신속하게 재창당을 완수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 의원은 이날 오전 트위터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재창당을 위해 보수 혁신에 동참하는 세력을 참여시키는 포용력이 필수적이다"고 주장했다.

또 그는 "한나라당이 박 전 대표 체제로 가닥이 잡히자 그동안 박 전 대표의 눈치만 보며 살던 일부 의원들이 당권을 잡았다고 기지개를 켜기 시작한다"며 "당권 잡았다고 희희낙락하다가는 바로 나락으로(떨어진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나라당이 살 길은 모든 기득권을 버리고 당을 해체한 후 신당을 창당하는 길뿐이다"라며 "그것이 박 전 대표도 사는 길"이라고 조언했다.

아울러 "박 전 대표 체제의 선결과제는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 시대에 역행하는 지독한 소통난부터 해결하는 것"이라며 "아날로그 방식과 속도로는 디지털 세력에 백전백패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박 전 대표의 대권 라이벌인 정몽준 전 대표와 김문수 경기지사, 이재오 의원 등이 박 전 대표 중심의 당 운영에 대해 강하게 반발할 경우 비대위 구성 계획에 진통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정몽준 전 대표는 조기 전당대회를 열어 새 지도부를 선출할 것을, 김 지사는 비상국민회의를 소집할 것을 각각 요구하고 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민경 최민경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