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조문논란, 대단한 것 아냐"

이나래 / / 기사승인 : 2011-12-26 16:02: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이부영 상임고문, "국회조문단 소규모 파견 의미 있다"
[시민일보]이부영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은 26일 김정일 조문 논란과 관련, “1994년 김일성 주석 사망했을 때에 비하면 조문 파동의 규모랄까, 그렇게 대단한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 고문은 이날 PBC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에 출연, “김일성 주석의 남북정상회담을 앞둔 갑작스러운 사망과 김정일 위원장의 예고된 사망은 그렇게 비교될 일은 아니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또 지난 1994년 당시 자신이 '같은 민족으로써 우리 쪽에서 조문단을 파견하거나 그것이 안 된다고 하면, 조문 의사를 표시하는 것도 고려를 할 수 있지 않느냐' 고 발언한 것에 대해 “그 때 여러 가지 전제를 줬다. 남북정상회담을 우리 정부도 계속 하는 의사가 있다면, 그리고 곧 이어질 김정일 체제가 안정되길 바란다면, 맨 마지막으로 우리 국민의 양해가 있다면, 이런 몇 가지 전제를 들면서 정부에게 조문단을 파견하거나 조의를 표할 의사가 있느냐, 이렇게 얘기를 했는데 일부 언론이 거두절미하고 제가 김일성 주석을 존경해서 그랬다, 이렇게 보도를 했다”며 “전혀 국회 논의하고는 관계없는 방식으로 그렇게 전하다 보니까 조문 파동이 굉장히 격렬해졌었다”고 설명했다.

당시 한총련과 민통련 등이 조문단 파견의사를 밝혔고, 이에 대해 정부가 불허하자 북한 노동신문이 '남조선 당국이 조문단 파견을 가로막고 조전, 조의는 고사하고 애도의 뜻조차 표시하지 않는다. 상식 이하의 불손하고 무례한 행동이다'라는 논평을 낸 것과 관련, 이 고문은 “그 때나 지금이나 우리가 반북, 친북적 성향의 흐름은 분명히 있다. 이런 것을 대단히 큰 것으로 생각할 필요는 없다”며 “이번에 김정일 위원장 사망 이후에 우리 사회가 보인 것은 그 전에 비해서 대단히 차분하고 냉정하다. 그것만 해도 우리 사회가 17년 동안에 대단히 성숙화 됐다”고 말했다.

일단 민주당과 진보당에서는 지금도 조문단 얘기를 하고 있고, 국회 차원의 조문단은 한나라당 박근혜 비대위원장의 반대도 있고, 정부 입장도 고려를 해야 되는 부분도 있어서 사실상 무산된 것이라는 관측에 대해 이 고문은 “박근혜 위원장이 김정일 위원장과 단독회담을 한 경력이 있었잖느냐. 그렇다면 박 위원장은 사실상 조문도 할 만한 위치라고 본다. 박지원 전 민주당 원내대표나 임동원 전 장관, 이런 분들이야 당연히 김정일 위원장과의 인연 때문에 조문을 하고 싶어 하고 또 할 만한 위치라고 보는데, 박근혜 비대위원장 자신이 조문을 할 의사를 보이지 않으니까 자연스럽게 여야가 함께 조문단을 꾸리는 일은 어려워졌다”며 “다만 우리 정부가 북한 인민에게 조의를 표하지 않았느냐. 그렇다면 구성이야 어찌됐든 간에 몇 명 안 되는 걸로 할 수도 있다. 국회 조문단이 소규모라도 꾸려져서 여야가 함께 조의를 북한인민에게 표한다는 거는 우리 국민이 북한인민에게 조의를 표하는 거나 다름없다고 본다. 정부가 북한쪽에 조의를 표했다면 우리 쪽에서 국회조문단 소규모로 꾸며서 여야가 함께 가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북한 쪽에 우리 조문단이 올 경우에 대내외 선전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건 아니냐’는 시각에 대해 “김대중 대통령 돌아가셨을 때나 정몽헌 회장 돌아가셨을 때 북쪽에서 조문단이 왔다”며 “우리가 그 사람들 온 것을 대내외 선전용으로 썼느냐”고 반문했다.

이어 그는 “앞으로 남북관계가 좀 나아질 걸 기대한다면 북한에서 우리가 조문단이 가면 대내외 선전용으로 쓴다든지 이런 말 자체를 우리가 쓰지 말아야 된다”고 강조했다.

이 고문은 친북성향 단체인 '자주통일과 민주주의를 위한 코리아 연대' 관계자 한 명이 김정일 국방위원장 조문을 위해서 밀입국방북을 한다고 알려진 것에 대해 “북한과 달리 우리의 경우에는 해외여행의 자유가 있다. 그래서 그런 사람들 중에 한 두 명이 가는 거를 어떻게 하겠느냐. 수많은 해외여행자 중에 한 사람이 그런 자세를 보인다, 그거를 대한민국 상당수 사람들이 그 행위를 지지한다든지 이렇게 우리가 반응할 필요도 없다고 본다”며 “그냥 사고가 하나 났다, 이렇게 생각하면 되는 것”이라고 대수롭지 않은 사건으로 치부했다.

특히 그는 “그 동안 이명박 정부는 대북정책이 없었다”며 “그리고 이제 정권 말기가 되니까 허겁지겁 다시 정상회담이다 뭐다 이렇게 매달리는데, 원래 정책이 없다가 이런 방식으로 가면 그 쪽에서 응하겠느냐. 김정은 체제가 들어서더라도 아마 이명박 정부는 별 효과를 걷기가 어려울 것이고 내년 한 해 동안은 남북관계가 어려워지지 않도록, 특히 여가 됐든 야가 됐든 다음 정권이 들어서서 대북정책을 실시해 나가는데 조금 길을 잘 닦아주는 역할만이라도 하고 끝냈으면 어떨까 하는 희망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나래 이나래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