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새누리당 공천 과정에서 가장 주목 받은 인물은 탈당한 유승민 의원과 이른바 '옥새투쟁'을 벌인 김무성 대표다.
사실 새누리당이 당의 정체성과 일치하지 않는 유승민 의원을 공천에서 배제시키려 한 것을 나무랄 수는 없다. 당의 노선과는 가는 방향이 다른 사람인데도 오직 총선승리라는 선거공학 적 판단에 의해 그를 공천한다면 오히려 그것이 잘못된 것이다.
따라서 당의 전략적 판단에 의해 유 의원을 공천에서 배제시킨다면 그것은 할 수 없는 노릇이다. 그런데 공천에서 배제시키는 방식이 아주 잘못됐다.
유 의원의 지역구인 대구 동구을에 일찍 이재만 후보를 단수추천하든지, 아니면 유 의원과 경선에 붙이든지 결단을 내렸어야 했다. 그런데 마지막 날까지 공천을 미루고 미뤄 결국 그로 하여금 23일 스스로 탈당하고 무소속출마를 선언할 수밖에 없도록 만든 것은 바람직한 방식이 아니다. 공당답게 좀 더 당당하게 결론을 내렸어야 옳았다.
결국 새누리당의 잘못된 공천 과정이 유 의원의 몸값만 올려준 셈이 되고 말았다.
그런데 그보다 더욱 잘 못된 것은 옥새를 쥐고 부산으로 튄 김무성 대표의 행태다.
김 대표는 “잘못된 공천을 최소한이나마 바로 잡아서 국민 여러분들께 용서를 구하는 것이 최선의 길이라고 생각했다”며 공천막판에 옥새투쟁이라는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아마도 대선주자로서 홀로서기의 모습을 국민들에게 보여주고 싶었던 모양인데, 그게 과연 집권당 대표로서 온당한 태도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물론 고비 고비마다 최고 권력자에 고개 숙이던 모습과 달리 부산행을 택하는 벼랑끝 전술로 유약한 이미지를 덜어냈다는 평가를 받게 될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당 대표가 자신이 대표로 있는 정당 소속 후보의 출마를 가로막고, 무소속 후보의 당선을 돕는 행위는 명백한 해당행위로 비난 받아 마땅하다.
실제 김 대표의 몽니 탓에 공천위로부터 추천받았던 이재만·유재길·유영하 예비후보는 당적 변경 시한이 지나 무소속 출마도 못하고, 당 공천도 확정 받지 못해 출마의 길이 아예 막혀버렸다.
이 같은 행위는 당 윤리위원회에 회부돼 출당조치까지 받을 수 있는 해당행위로 대단히 부적절한 행위가 아닐 수 없다.
어쩌면 김 대표는 총선 이후 자신이 해당행위에 따른 책임을 지고 출당조치를 당할 것이란 점을 알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어차피 총선 이후엔 굳이 7월 전당대회까지 당 대표직을 유지하는 게 의미 없다는 생각도 했을 것이다.
그런 판단에 따라 의도적으로 옥새를 들고 튀었을 것이다.
실제로 새누리당은 총선 이후 김 대표의 해당행위에 대한 책임을 묻고 그를 출당 조치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러면 김 대표는 왜 그런 선택을 한 것일까?
새누리당 내부에서 더 이상 자신이 차기 대권주자가 될 수 없음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실제 각종 여론조사에서 나타났듯이 대권주자로서의 그의 존재감은 점차 사라지는 분위기다.
그래서 총선 이후 새누리당을 깨고 나가서 친이계와 친 유승민계의 손을 잡고 별도의 정당을 만들어 보겠다는 속셈일지도 모른다.
그렇지 않고서야 청와대와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널 까닭이 없는 것이다.
아무튼 무공천 후유증이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대구의 경우 단순히 유 의원 혼자만 공천에서 배제되는 것으로 끝난 게 아니다. 만일 그곳에 새누리당 이재만 후보가 출마했더라면 유 의원은 자신의 당선을 위해 다른 지역구에는 신경 쓸 여유조차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곳에 새누리당 후보가 출마할 수 없게 됨으로 유 의원은 다른 지역구에 지원유세를 다닐 만큼 여유가 생겼다.
실제 유 의원은 낙천한 측근 의원들 돕기에 나섰다.
그는 “이번에 경선 기회조차 받지 못한 그 후보들을 제가 도와드릴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돕겠다)”고 밝혔다.
결국 김 대표의 해당행위로 인해 두 지역분만 아니라 다른 지역까지 새누리당 후보들이 낙선하고 무소속 후보들이 당선되는 일이 발생할지도 모르는 엄중한 상황에 이른 것이다. 김대표는 그들을 모아 신당을 만들겠다는 생각을 했을지 모르겠으나 그런 정당의 후보로 대선주자가 된 들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아무튼 총선 이후 김 대표는 자신이 행한 해당행위의 책임을 분명하게 져야 할 것이다. 이번에 출마 길이 막힌 이재만 유재길 씨 등이 김 대표의 해당행위에 따른 책임을 묻고 윤리위에 제소할 경우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빤한 것 아니겠는가.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