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평화당發, 정계개편론 ‘솔솔’

고하승 / gohs@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8-10-01 14:22:1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편집국장 고하승



올해 안이나 늦어도 내년 초에는 자유한국당과 민주평화당이 정계개편의 방아쇠를 당기게 될 것이란 소문이 여의도 정가에 무성하다. 전혀 근거 없는 얘기가 아니다. 이미 그런 징후가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먼저 자유한국당부터 살펴보자.

한국당 의원 보좌관들 중에는 ‘한 지붕 두 가족’ 사태를 대비하는 사람들이 나타나고 있다.

‘한 지붕 두 가족’이란 곧 있을 당협위원장 교체 과정에서 현직 국회의원이 아닌 새 인물로 당협위원장이 교체되는 것을 의미한다. 앞서 한국당은 지난 9월 20일 당협위원장이 공석인 이른바 ‘사고 당협’ 22곳을 제외한 전국 231곳의 당협위원장에 대해 일괄 사퇴 안건을 처리했다.

국회의원을 선출하는 전국 253개 지역구는 당협위원장이 당원과 조직을 관리하는 권한을 갖는다. 통상 현직 국회의원이 당협위원장을 맡는 게 관례이지만, 이번에는 그런 관례가 통하지 않을 것 같다. 사실상 그동안 미뤄왔던 인적청산의 신호탄을 쏘아올린 셈이다.

한국당 조직강화특별위원회 외부위원으로 영입된 전원책 변호사도 1일 “아무도 희생당하지 않고 단일대오로 당을 일신하면 좋겠지만, 이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대대적인 물갈이를 예고했다.

특히 김용태 사무총장이 당헌.당규를 개정해 당협위원장 가운데 절반 이상을 50세 이하와 여성이 임명되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어 ‘한 지붕 두 가족’은 조만간 현실로 나타날 것이란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즉 한 지역구에서 현역 국회의원과 중앙당에서 새로 임명한 당협위원장이 공존하는 비정상적 조직운영이 한동안 지속될 것이란 뜻이다. 하지만 2020년 4월 총선시기를 감안하면 그 시간은 그다지 길지 않을 것이다. 당협위원장에서 배제된 현역은 결국 탈당하고, 무소속이냐 다른 정당 입당이냐를 두고 결단해야하는 탓이다. 그런데 그 수가 적어도 10명에서 많게는 50명에 달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어쩌면 그들이 정계개편의 ‘태풍의 눈’이 될지도 모른다. 인적청산 대상이 친박계일 경우는 그들이 독자적인 신당을 창당할 가능성이 높다. 그 어느 정당에서도 그들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보수진영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받고 있는 차기 유력대권주자인 황교안 전 국무총리가 친박계의 적극 지원을 받고 있는 탓이다. 어쩌면 그가 내년 초에 있을 전당대회에 친박 후보로 당권에 도전하게 될지도 모른다.

조강특위 영입제안에 김용태 사무총장 등이 향후 있을 조강특위에 참석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내걸었던 전원책 변호사도 한국당 탈당전력이 있는 복당파에 대해선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 같다.

실제 전 변호사는 “김용태 총장은 탈당을 하고 복당을 한 분이고, 잔류파는 복당파가 당을 좌지우지 하는 것에 대해 대단히 비판적”이라고 지적했다. 김병준 비대위원장도 복당파 좌장 격인 김무성 전 대표와 복당파의 지원을 받고 있는 홍준표 전 대표의 당권도전에 대해 부정적이다. 심지어 비대위 일각에선 그들의 전대출마를 막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오히려 인적쇄신의 칼날이 복당파를 향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럴 경우 그들 역시 탈당을 결행할 수밖에 없을 것이고, 그들은 독립정당을 만들기보다는 바른미래당 입당을 타진할 가능성이 높다. 바른미래당 내에는 국민의당과 합당하기 이전 바른정당에서 한솥밥을 먹던 의원들이 있기 때문에 큰 부담도 없다.

민주평화당의 경우는 어떤가. 당내에서는 이미 탈당설이 제기되는 의원들이 속출하는 등 크게 휘청거리고 있다.

물론 박지원 의원은 이날 같은 당 김경진·이용주 의원 등 일부 초선의원들의 탈당설을 일축하면서 “지금은 탈당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하지만 이는 향후 탈당 가능성까지 완전히 배제한 것은 아니다.

박 의원도 “약 1∼2달 전 일부 초선의원들이 나와 (탈당문제를)상의했다"며 "나는 ‘탈당은 하지 말고 정계개편의 기회가 온다면 함께 당에서 노력해보자’고 했다”고 밝혔다.

박 의원도 사실상 정계개편이 진행될 것으로 보고 있는 셈이다. 문제는 설사 민주평화당 의원들이 탈당하더라도 친문세력이 장악하고 있는 더불어민주당에서 이들을 받아줄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그들은 무소속이냐 바른미래당 입당이냐를 놓고 고민하게 될 것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하승 고하승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