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Search: 30,976건
교각근처 나무 ‘쑥쑥’ 다리안전 불안
시민일보 2006.11.12
서울 강남구에 살고 있는 주민입니다. 학여울역에서 대모산역으로 가는 방향 쪽으로 공원과 교회가 있습니다. 교회정문 가기 조금 전의 교각 근처에 시멘트사이로 나무가 크게 자라고 있습니다. 향후 그 나무가 더욱 커진 뒤, 시멘트다리에 틈이 생겨 다리 안전에 지장을 초래할까봐 볼 때마다 걱정이 됩니다. 건교부 담당인지 구청 ...
개헌? 그 황당함
시민일보 2006.11.12
요즘 부쩍 열린우리당 쪽에서 헌법을 개정하자고 야단이다. 그 이유는 대통령임기와 국회의원임기가 서로 맞지 않아 국력의 낭비가 있으니, 대통령 임기를 4년 중임제로 바꾸고 내년 대통령선거 때 국회의원 선거를 동시에 하여 대통령과 국회의원 임기를 같이 하자는 것이다. 그러나 대통령과 국회의원을 동시에 선출하고 그것도 ...
대통합을 ‘도로 민주당’에 가두지마라
시민일보 2006.11.12
{ILINK:1} 정계개편에 관해 말을 아끼려 했다. 국회의원으로서 정기국회 기간동안 치솟은 아파트 값을 잡을 방법을 찾고, 계속되는 한반도 위기 상황을 극복할 외교안보정책상의 대안을 찾는 것이 우선이기 때문이었다. 정계개편에 대한 입장을 얘기하는 이유가 정치인으로서의 ‘개인 평가’와는 전혀 무관하다는 점을 미리 ...
여권, ‘거국내각 구성’은 헛발질
시민일보 2006.11.09
{ILINK:1}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가 관리형 내각을 구성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자 기다렸다는 듯이 여야 의원들로부터 거국내각을 구성하자는 요구가 잇따랐다. 그러나 결론부터 말하자면 강대표가 제안한 ‘관리형 내각’과 열린우리당 의원이나 한나라, 민주당 의원들이 주장하는 ‘거국내각’ 혹은 ‘비상내각’은 분명히 차원이 ...
‘사람이 변해야 국감이 변한다’
시민일보 2006.11.09
{ILINK:1} 서울에서 대전에서 광주에서, 숨 가쁜 20일이었다. 국정감사 20일동안 정부기관 수십 곳을 감사하기란 결코 쉬운 일만은 아니다. 그런 만큼 아쉬움도 많이 남는다. 15대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다 다시 돌아온 상임위원회이기에 이번 국감을 맞는 감회는 남달랐다. ‘사람들은 어떻게 바뀌었을 ...
수명산은 반드시 주민 품에 안겨야 한다!
시민일보 2006.11.09
우리 강서구에는 화곡3동과 발산1동에 두루 걸쳐 해발 117.7m의 수명산이 있습니다. 수명산은 그 지형이 마치 밥주발을 엎어놓은 모습 같다 하여 발산이라 불러지기도 하며 발산동의 동 명칭도 이 수명산과의 관계에서 비롯됐다고 합니다. 우리 수명산은 아침이면 온갖 이름 모를 새 소리에 삶의 싱그러움을 더 해주고 있고 많 ...
거주지 고려해 학교배정해달라
시민일보 2006.11.09
서울 동작구에 살고 있는 주민입니다. 구청에서 적극적으로 동작구민의 자녀를 관내의 고교에 배정 되도록 해 주시기 바랍니다. 여러 차례 관내 고교 배정에 관하여 교육청 및 관련 기관에 수차례 의견을 제출했으나 별다른 내용이 아닌 ‘노력하겠다’라는 말만 되풀이 되고 있습니다. 바로 옆에 수도여고 등의 학교가 있음에도 불구하 ...
신축빌라 주변길 견인지역 지정을
시민일보 2006.11.09
서울 관악구에 살고 있는 주민입니다. 제가 살고 있는 신축빌라로 인해 앞뒤로 도로가 넓어지자 인근 주택 주민들이 차를 무단으로 주차를 하고 있습니다. 그 차량들로 하여금 저희 빌라 주민들만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 빌라는 여러 가구가 살고 있어 화재라도 나면 정말 큰 인명피해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빌라 앞뒤 ...
성곽(城郭)이 완전하지 못하니
시민일보 2006.11.09
그 영감은 무슨 책인가를 꺼내더니 이렇게 읽어갔다. “‘옛적부터 임금들이 도참설(圖讖說)로 나라를 보전했다’는 말은 들어 본 적이 없습니다. 지금 나라 안팎으로 민심이 동요하고 있는데 무리하게 천도하면 백성들은 더욱 의혹을 느끼고 공덕의 비용과 소요의 폐는 말로 못할 것입니다.” 바로 지리쇠왕설을 민심동요론(民心動 ...
두 번의 눈물
시민일보 2006.11.09
최전방 GP 내무반에서 일어난 총기 사고로 목숨을 잃은 장병들의 시신이 안치된 국군수도병원을 다녀왔다. 금쪽같은 아들을 잃고 오열하는 어머니와 실신한 듯 초점 없는 눈동자로 먼 하늘만 응시하고 있는 아버지의 모습을 보며 내 마음도 함께 무너졌다. 적과 싸우다가 전사한 것도 아니요 아무 일도 모른 채 잠을 자다가 던져진 수 ...
공무원 ‘해방이후 최고의 방학기’
시민일보 2006.11.08
{ILINK:1} 요즘 수도권 시·군 허가 관련 공무원들은 속된 말로 손가락만 빨고 있다. 벌써 1년 6개월째 거의 업무가 실종됐기 때문이다. 갈수록 이런 현상은 더욱 심하게 전개되고 있어 공무원들은 해방이후 최고의 방학기를 맞이하고 있다고 한다. 이유는 관리지역 세분화 때문이다. 이것은 정부가 비(非)도시지역 난 ...
김덕룡 탈당촉구… 음모의 냄새가 풍긴다
시민일보 2006.11.08
{ILINK:1} 한나라당내 친(親)이명박 진영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이명박 전 서울시장 대권캠프의 사실상 좌장격인 이재오 최고위원과 뜻을 같이하는 이방호 의원이 지난 7일 느닷없이 김덕룡 의원의 탈당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재오 최고위원과 이방호 의원은 지난해 12월 원내대표 선거당시 이 최고위원은 원내대표 후보로, ...
“인간적인 동지”를 꿈꾸던 그
시민일보 2006.11.08
일요일인 5일 새벽. 다급하게 울린 전화 저쪽 끝으로부터 구논회 의원이 하늘나라로 불려갔다는 충격적인 소식이 전해져왔습니다. 하루종일 이일저일로 돌아다니면서도 ‘짠’한 마음을 지워낼 수는 없었습니다. 누구라도 죽음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지만, 그의 떠남이 우리를 짠하게 한 이유는 그가 평소 같이 마음을 나누 ...
이어령 박사님도 못 풀(?) 논술
시민일보 2006.11.08
{ILINK:1} 어린왕자! 잘 있었겠지? 이거 한 달 만에 불러 보는 데 정말 미안하군. 국정감사로 조금 바빴지. 대한민국에는 해박한 지식과 청산유수의 말솜씨로 대학 강단을 주름잡았고 유려한 문장과 막힘없는 논리로 수많은 베스트셀러와 스테디셀러를 냈으며 얼마 전에는 대한민국 문화부 장관도 역임하셨던 이어령 박사님이 ...
한천교 밑 뚝방 시멘트 걷어내라
시민일보 2006.11.08
서울 노원구에 사는 주민입니다. 저는 가끔 중랑천에 나가 자연 속에서 아이들과 함께 여가를 즐기고 있습니다. 얼마 전에는 한천교와 중랑천으로 넘나드는 다리를 연결 해 주어 참 고맙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공사한지 얼마 안 되어 보이는 한천교 밑의 강기슭 뚝 방을 시멘트로 발라서 공사를 했더군요. 요즘은 강이나 ...
나는야 맹켄바우어
시민일보 2006.11.08
내 앨범 속의 빛바랜 사진 중에는 1978년쯤 되던 해 기자협회 주최 축구대회에서 우승을 하고 동료들과 함께 찍은 사진이 한 장 있다. 볼 다루는 솜씨가 아니라 순전히 포지션이 같다고 해서 독일의 유명한 축구선수요 감독인 베켄바우어의 이름을 따서 동료들이 ‘맹켄바우어’라는 별명을 붙여 주었던 바로 그 대회다. 사진 속에는 ...
환도(還都)
시민일보 2006.11.08
‘경복궁 명당론’에 입문을 하기 전에 반드시 공부를 해야 할 과제가 있다. 무슨 연유(緣由)에서 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창업한 왕도 ‘개경(開京)’을 버리고 굳이 ‘한양(漢陽)’으로 천도했을까? 그 천도(遷都)배경을 알려면 신라 말 고려 초기까지 올라가야 한다. 그러나 이 천학은 당대의 한양천도설(漢陽遷都說)을 해명하기 ...
지도자는 듣는 귀를 ‘활짝’ 열어라
시민일보 2006.11.07
{ILINK:1} 지난 주 금요일 저녁 한나라당 강재섭 대표와 통화를 한 일이 있다. 오는 10일 열리는 시민일보 주최 ‘제4회 행정·의정대상’ 시상식에 참석해 축사를 해달라는 요청을 하기 위해서다. 물론 앞서 당 대표실로 공식적인 축사 요청서를 보낸 바 있다. 그런데 강 대표는 그 같은 사실을 전혀 알지 못하고 있었다. ...
가을정가 돌아보기
시민일보 2006.11.07
가을은 한해 농사의 결실을 거두는 풍성한 수확의 계절인데, 유독 정치권에서만은 결실을 맺기보다는 갈등과 반목만 깊어지는 것 같아 안타까운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 노 대통령이 지난 주말 김대중 전 대통령 자택을 방문, 2시간여 동안 북핵과 부동산문제 등을 논의했다고 청와대가 밝혔다. 국가중대사와 관련해서 현직 대통령이 ...
고구려 역사복원
시민일보 2006.11.07
{ILINK:1} 최근 한-중 현안문제 중 가장 뜨거운 이슈로 부상하고 있는 동북공정은 중국 사회과학원 산하 ‘변강사지연구중심(邊疆史地硏究中心)’에서 주도하며 중앙정부의 고급 당간부는 물론 동북3성(省)의 각 사회과학원과 대학, 연구소 인력이 대거 참여하고 있다. 동북공정을 위해 중국은 유적정비와 주민의 이주 경비 등 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