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도시 곳곳에 '생활문화센터'

정찬남 기자 / jcrso@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1-04-22 16:18:41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작년 동구 계림동 등 5곳 착공

올해 서구 유덕동 등 5곳 추가

커뮤니티ㆍ문화공간 등 선보여

[광주=정찬남 기자] 광주지역 곳곳에 시민들이 문화ㆍ복지ㆍ편의ㆍ여가 등을 즐길 수 있는 생활문화센터가 조성되고 있다.

광주시는 생활SOC복합화사업의 일환으로 도서관, 체육관, 어린이집, 주거지주차장 등 다양한 시설을 한 공간에 복합적으로 조성하기 위한 생활문화센터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생활SOC복합화사업은 정부 정책에 따라 문화ㆍ체육ㆍ보육ㆍ복지ㆍ교육 등 일상에서 국민편익을 증진시키는 시설을 한 곳에 모아 문화와 복지서비스 등 일상에서 주민 편의를 증진하는 새로운 개념의 기반시설 사업이다.

시는 지난 2020년 동구 계림동, 남구 봉선동, 북구 신용동, 광산구 신창동 등 5개 지역에 생활문화센터 조성 사업을 추진한데 이어, 올해는 서구 유덕동, 남구 주월동, 방림동, 사직동, 북구 우산동 등 5개 지역에 추가로 생활문화센터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사업비는 국비와 지방비 각 50%로, 지난 2020년은 총 56억원을 투입하고 올해는 44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생활문화센터는 ▲북카페, 전시, 소규모 발표회 등 주민들이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는 마주침 공간 ▲악기연습, 합창 등을 위한 방음시설을 갖춘 방음 공간 ▲연극, 무용, 요가를 위한 방진 공간 ▲전신거울이 구비된 마루 공간 ▲특성화 시설 등 주민들이 자발적ㆍ일상적으로 참여하는 활동 공간으로 구성되며, 지역별 복합사업의 규모에 따라 2023년까지 연차적으로 개관할 예정이다.

시는 생활문화센터가 개관하면 지역별 도보권내 주민들이 문화ㆍ복지ㆍ편의ㆍ여가 등에 활용하고, 주민 소통ㆍ화합ㆍ공동체 형성 등 세대통합과 생활 사회기반시설(SOC) 소외 지역 해소 등 지역 간 균형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준영 시 문화관광체육실장은 “생활 사회기반시설(SOC) 복합화 사업의 일환으로 생활문화센터를 조성하고 있다”며 “일상 속에서 시민의 삶을 질을 높이고, 지역 간 균형발전과 일자리 등 일석삼조의 효과를 창출하는 주민 체감형 사업으로 내년에도 신규 사업 발굴에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