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천시 상수도사업본부 외부 전경 |
28일 상수도사업본부에 따르면 인천시는 연간 약 50㎞의 노후관을 새로운 수도관으로 교체하고 있으나 2024년 12월 말 기준 30년 이상 된 송·배수관의 길이는 약 909㎞에 달한다.
일반적으로 수도관의 수명은 약 30년으로 알려져 있으며 수도관 재질과 종류가 다양한 만큼 관종 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교체 기준 수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상수도사업본부 산하 맑은물연구소는 노후 수도관의 건전성 연구를 통해 수도 관종 별 특성에 대한 정밀 분석과 강도나 연신율 같은 역학적 성질을 파악해 수도 관종 별 노후 기준을 세분화할 계획이다.
2023년부터 수거한 다양한 재질의 노후 수도관 시편 32건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며 정밀 절단과 연마 과정을 거쳐 내·외면 도장재의 두께 및 상태를 확인할 계획이다.
또 수도관의 장기적 사용에 문제가 될 수 있는 금속부의 결함 유무 등도 파악한다. 국내에서 생산 및 납품 중인 상수도용 신관에 대한 분석도 병행, 여러 수도 관종에 대한 장단점을 비교한다.
이러한 건전성 연구는 수도 관종 별 개별 노후 기준을 마련함은 물론 토양 등 주변 환경 특성에 맞춘 상수도 신관 매설의 기초자료로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장병현 본부장은 “인천하늘수는 국가브랜드대상 수돗물 부문에서 3년 연속 수상할 만큼 정수처리공정의 신뢰를 입증해 왔다”며 “관망 분야에 대한 연구를 확대해 건강한 수돗물 공급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