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래습지 생태공원 염전 전경 |
인천시 등에 따르면 8월 4일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국가도시공원 지정 요건과 국비 지원 범위가 확대됐다.
따라서 시는 이를 기회로 삼아 소래습지와 해오름공원, 람사르습지, 장도포대지 등 600만㎡를 통합한 ‘소래 염전 국가도시공원’ 지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소래습지는 수도권에서 유일하게 자연 해안선과 한남정맥 발원 하천의 자연하구를 동시에 품은 지역이다. 자연 해안선은 조간대, 갯벌, 염습지 등 다양한 서식 환경을 형성해 어류·조류·무척추동물의 번식과 서식지 역할을 한다.
특히 기수역은 생물다양성이 매우 높고 멸종위기종 저어새를 비롯해 흰발농게, 검은머리갈매기 등 300여 종 생물의 중요한 서식처다. 또 8천년 세월이 빚어낸 사행성 급경사 갯골은 전국 어디에서도 보기 힘든 지형적 특성이 있다.
역사적으로도 이곳은 우리나라 천일염의 시작지이며 1930년대 전국 염전의 60%를 차지하던 광활한 소래 염전이 자리하던 곳이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소금 창고와 소래포구 어시장은 주민과 방문객에게 염전문화의 흔적을 전하고 있다.
국가도시공원 지정은 이 지역의 자연·역사·문화 자원을 국가 차원에서 보호하는 한편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로 지정 시 조성비와 관리·운영비의 일부를 국비로 지원받아 장기적인 보전과 활용이 가능해진다.
또 국가도시공원은 단순한 보전 공간을 넘어 지역경제와 관광 활성화의 거점이 된다. 뉴욕 센트럴파크, 파리 라빌레뜨 파크와 같은 대규모 녹지공간은 시민의 여가·문화생활 증진과 더불어 지역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역할을 해왔다.
유정복 시장은 “소래습지는 인천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가 공존하는 공간으로 국가도시공원 지정은 우리의 소중한 자연유산을 지키는 동시에 세계적인 해양 생태·문화관광 명소로 도약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법률의 시행은 공포 후 1년으로 인천시는 2025년까지 하나의 공원으로 통합하기 위한 도시관리계획 및 공원 조성계획 수립 등 법적 절차를 추진하고 2026년 상반기 관련 협의 등을 마무리하면 2026년 하반기 국토교통부에 국가도시공원 지정을 신청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