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3지대 통합 정당인 개혁신당이 선거지휘 주도권을 요구하는 이준석 공동대표로 인해 내홍에 빠지는 등 총선을 앞두고 ‘적신호’가 켜졌다.
18일 현재 통합개혁신당 관계자들에 따르면, 기존 개혁신당을 창당했던 이준석 대표는 새로운미래 출신의 이낙연 공동대표 측에 '세 가지 제안'을 했으나 이낙연 대표 측이 2개를 반대해 갈등이 불거졌다.
가장 큰 갈등요인은 '대선 지휘 경험이 있는 이준석 대표가 김용남·김만흠 공동 정책위의장과 상의해 선거 정책 홍보 전반을 지휘하도록 하자'는 제안이다.
한마디로 선거지휘권을 이준석이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이낙연 대표 측은 선거 관련 전반의 내용은 최고위원회의에서 검토하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며 반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 ‘최고위원회의 검토’를 거쳐야 한다는 이낙연 측의 주장은 절차상 너무나도 당연한 주장이다. 선거지휘권을 어느 특정 개인이 독단적으로 거머쥐는 일은 공당(公黨)에선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더불어민주당도 비록 ‘이재명의 사당(私黨)’이라고는 하지만 형식적으로는 ‘최고위원회의 검토’ 과정을 거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여러 세력이 모인 통합정당에서 한 사람이 선거지휘권을 독식하겠다니 그걸 다른 세력들이 반대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더구나 이준석 공동대표는 마치 자신이 대단한 선거전략가라도 되는 양 자화자찬하지만, 그가 ‘선거 전략’ ‘정책 홍보’에 특별한 능력을 지녔는지 입증된 일이 없다. 오히려 그는 자신의 지역구에서 3번이나 연거푸 낙선한 무능한 패배자일 뿐이다.
이준석 공동대표는 “내가 오세훈을 서울시장으로 만들었다”라고 주장하지만, 이 역시 근거가 없다. 오 시장이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당내 경선에서 승리할 수 있었던 것은 앞서가던 나경원 후보의 선거대책위원장으로 내정됐던 김선동 전 의원이 오세훈 시장 캠프로 옮겨간 것이 결정적 요인이었다. 당시 오세훈 후보는 민심에선 나경원을 앞섰으나 당심에선 밀렸다. 그러나 지금의 서울시당 위원장인 김선동 전 의원의 오세훈 캠프 합류로 당심이 크게 움직였고, 결국 그의 경선 승리로 안철수 후보와의 단일화에서도 승리할 수 있었다.
이후 ‘오세훈 생태탕’ 외에는 아무런 대책이 없었던 민주당 박영선 후보를 오세훈 후보가 압도적으로 따돌리는 결과를 낸 것이다. 그 과정에 이준석의 역할은 없었다.
또 이준석 개혁신당 공동대표는 “내가 윤석열을 대통령으로 만들었다”라며 자신이 ‘대선 승리 일등공신’이라고 자처하지만, 이 역시 객관적 근거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 당시 국민의힘 대표였던 이준석 현 개혁신당 공동대표가 ‘윤석열 지지율 하락’을 조장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특히 여성 혐오를 조장하는 방식으로 20대 남성의 지지를 받으려다 20대부터 40대 여성까지 모두 윤석열 후보에게 등을 돌리는 결과를 초래하고 말았다. 수치상으로도 그렇게 나온다.
그런 사람이 마치 자신이 ‘선거의 신’이라도 되는 양 자신이 선거지휘권을 독식해야 한다고 하니 이낙연 측에서 반대하는 건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문제는 이로 인해 통합신당이 내부 폭발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통상적인 정치인이라면 총선 승리를 위해 자신이 한발 물러서는 모습을 보였을 것이다.
하지만 언제나 내부에서 폭탄 노릇을 하면서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키워온 그에게 그런 모습을 기대하는 건 어불성설이다.
실제로 그는 바른미래당에서 자신이 당 지도부의 일원인 최고위원임에도 손학규 당 대표를 몰아내겠다며 쿠데타를 일으켰던 사람이다. 국민의힘에선 당 대표로 선출됐음에도 대선 당시 당의 후보인 윤석열 후보와 이런저런 마찰을 빚는 등 내부에 폭탄을 던졌던 사람이다.
‘제 버릇 개 못 준다’라는 속담처럼 그 버릇이 어디 가겠는가.
제3지대에서도 그는 ‘내부 폭탄’ 던지기를 주저하지 않는 모습이다. 결과적으로 정당 지지율 10%도 안 되는 상황에서 “내가 아니면 안 된다”라는 이준석 대표의 생떼가 통합신당을 망치는 셈이다. 하지만 ‘내부총질러’를 배제하라는 경고를 무시한 대가이니 누구를 탓하랴. 자업자득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