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관계자 등에 따르면 서범수 사무총장은 지난 6일 전국 당협에 보낸 ‘당협 활동사항 정기보고 실시 협조의 건’ 제하의 공문을 통해 "전당대회 이후 당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동력 확보의 일환으로 지방조직의 중요성이 대두됐다”며 “당협 운영을 더욱 활성화하기 위한 활동 독려 방안을 마련 중에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오는 11월부터 각 당협은 매 홀수월 5일까지 ▲당원조직 ▲당원활동 ▲정책활동 ▲언론활동 ▲홍보활동 ▲청년활동 실적을 보고해야 하고 제출하지 않은 당협은 별도 관리 대상으로 분류된다"며 "일반당원ㆍ책임당원 전환율, 직능ㆍ사회단체와 당협 간 연계 활동, 당협 차원의 당정회의 개최 여부 뿐 아니라 당협위원장의 언론 노출 횟수도 보고 항목에 포함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각 당협은 지방의원들에게 몇 명을 할당해 가입시켰는지, 이를 위해 어떤 회의를 거쳤는지 일정-장소 등에 대해 세세히 보고해야 하고 이를 통해 당원을 확장한 당협을 표창한다는 복안이다.
무엇보다 한 대표가 강조한 ‘중수청(중도ㆍ수도권ㆍ청년)’ 활동과 관련해서도 각 당협은 청년위원회 지회, 대학생위원회 지회 등 청년 조직을 구성해야 하고 이들과의 소통 강화를 위한 활동 내역도 제출해야 한다.
국민의힘은 활동 실적을 토대로 당무감사에 돌입할 방침이다. 당무감사는 통상 선거를 앞두고 컷오프 전초전으로 꼽힌다.
당협위원장은 차기 공천에서 유리한 입지를 확보할 수 있어서다. 통상 국민의힘은 당무감사 후 부실당협을 선정하고, 조직강화특별위원회(조강특위)를 열어 부실당협의 당협위원장을 교체한다.
서울 소재 당협 관계자는 “당원 증감율은 중앙당 조직국에 이미 데이터가 있는데 이를 요구하는 것은 사실 상 당협 압박용"이라며 “한 대표가 직접 관리하겠다는 메시지 아니겠냐”고 지적했다.
특히 2025년 초로 예정됐던 당무감사가 미뤄질 가능성이 언급되는 데 대해서도 "한 대표가 대선에 나가게 되면 당헌당규상 1년 6개월 전에 당을 떠나야 한다”며 “그 전에 체제를 정비하려는 것인데 내년 초에 당무감사를 하게 되면 지방선거를 앞두고 다시 당무 감사를 거쳐야 하기 때문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결국 한 대표 체제 이후 새로운 지도부가 지방선거 전에 당협위원장을 교체할 시간적 여유를 주지 않겠다는 의도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