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의당이 당명 개정 등을 포함한 재창당을 2023년까지 마무리하기로 했으나 국민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언제나 그렇듯 ‘도로 민주당 2중대’의 위치를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는 예상 때문이다.
아니나 다를까.
정의당은 17일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제11차 정기당대회를 열고 대안사회 모델을 제시하는 정당, 정체성을 분명히 하는 정당, 노동에 기반한 사회연대 정당, 정책을 혁신하는 정당, 지역에 뿌리를 내리는 정당 등을 방향으로 하는 재창당 결의안을 채택했다.
문제는 ‘연합정치’를 전략이 아닌 전술적 차원으로 능수능란하게 구사하는 정당도 결의안에 함께 포함됐다는 점이다.
정의당이 연합정치 대상으로 ‘더불어민주당’이라고 ‘콕’ 집지는 않았지만, 그 대상이 민주당일 것이란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결국, 정의당의 재창당 선언은 사실상 ‘도로 민주당 2중대’ 선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러니 정의당의 재창당 선언에도 믿음이 가지 않는 것이다.
앞서 정의당은 대통령선거와 지방선거에서 연이어 존재감을 보이지 못하며 창당 이후 최대의 위기 상황을 겪었다. 민주당의 2중대 노릇을 한 데 따른 필연적 결과다.
이 과정에서 정의당은 공정·인권 등의 진보적 가치마저 저버렸다.
실제로 조국·윤미향·박원순·오거돈 사태 때 진보정당으로서 선명한 자신들만의 의견을 밝히지 못하고 민주당 편에서 2중대 역할을 톡톡히 했다. 그 결과 대선과 지방선거에서 정의당은 국민으로부터 버림을 받았다.
정의당 내부에서도 그런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당 '10년 평가위원회' 한석호 위원장은 "1기 정의당 실패는 '심상정 노선'의 실패"라며 "'심상정 전략'은 정의당 원칙을 중심에 세우지 않아 정의당과 민주당은 전혀 구별되지 않는 상태였다"라며 "정의당은 민주당이 그럭저럭 행세하는 대낮에는 존재감이 사라졌고, 민주당이 문제를 심각하게 일으키는 야밤에만 희미하게 존재감을 발휘하는 '민주당 야경꾼'으로 전락했다"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어 "명백한 불평등-부정 사태인 '조국 사태'에서 정의당은 '민주당 2중대 낙인'을 스스로 이마에 새겼다"라며 "그 결과는 총선-대선-지방선거로 이어지는 선거 연속 패배였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새롭게 출발하는 2기 정의당은 '민주당 의존전략' 및 '대중의 바다 전략'과 단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위원장의 주장한 ‘민주당과의 단절’은 재창당하는 정의당이 나가야 할 가장 바람직한 방향이다.
그런데 재창당 결의안에 다시, 그것도 아주 노골적으로 ‘연합정치’를 전술적 차원으로 능수능란하게 구사하는 정당이라고 못 박고 있으니 과연 재창당하는 정의당을 믿어도 되는지 의문이다.
민주당과 연합정치를 하겠다는 정의당이라면 재창당을 한다고 해도 의미 없다.
경고하거니와 또다시 민주당과 후보 단일화 및 지방선거 연합공천 등 정치 공학에 매달리면 진보정치를 완전히 망치게 된다. 정의당의 재창당은 ‘민주당과의 연합정치’가 아니라 ‘탈 민주당’ 선언으로 완성된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차기 지도부 선출을 위한 일정에 들어간다고 하니 당 대표 후보들은 이런 점을 명확하게 해야 할 것이다.
실제로 정의당은 오는 27일부터 이틀에 걸쳐 후보 등록을 받고, 29일부터 다음 달 13일까지 전국 순회 유세와 TV토론 등의 선거운동이 이뤄진다.
같은 달 14일부터 엿새간 전당원투표를 하고 나면 19일에 새 지도부가 선출된다. 다만, 과반 득표자가 없으면 10월 23∼28일 결선투표를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 당 대표 후보들이 ‘탈 민주당’을 공개적으로 선언해야 한다는 말이다.
"민주당과의 정책적 차별성 부각 실패, 정책의 정치화 전략 부재 등으로 인해 정책 정당이라고 자부하기 어려워졌다"라면서도 민주당과의 연합정치를 공공연하게 거론하는 정의당의 재창당이라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다시 말하거니와 정의당의 재창당은 ‘민주당과의 연합정치’가 아니라 ‘민주당과의 단절’로 완성된다는 걸 잊어선 안 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