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노골적으로 ‘박용진은 배제’, ‘양문석은 포용’하는 태도를 보였다.
이에 따른 당내 갈등이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급기야 민주당에서 가장 먼저 불출마를 선언했던 초선 오영환 의원이 17일 “민주당이 소중한 가치를 잃었다”라며 탈당하고 이낙연 대표가 이끄는 ‘새로운미래’ 합류를 선언했다. 추가 탈당자들이 나타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당내에선 ‘총선 쓰리톱’ 체제가 흔들리는 모양새까지 나타났다.
실제로 이재명 대표와 김부겸 전 국무총리가 박용진 의원 공천 승계 문제로 견해차가 표출되면서 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에 균열이 생기고 있다. 상임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은 이 전 대표와 김 전 총리가 정면충돌한 것이다.
전날 김부겸 전 총리는 ‘당이 공식 선거운동을 앞두고 가장 큰 위기에 처했습니다’라는 제목의 입장문을 기자들에게 배포했다.
김 전 총리는 서울 강북을 지역 공천을 두고 “정봉주 후보의 공천철회 결정은 잘한 일이다. 그런데 박용진을 사실상 배제하는 경선 결정이 잘된 결정인지 이해하기 어렵다. 서울과 수도권 전체에 미칠 영향이 심히 염려된다”라고 밝혔다. ‘막말·거짓 사과’ 논란으로 정봉주 전 의원이 강북을 후보직에서 낙마한 뒤 최고위원회가 차점자인 박용진 의원을 공천하는 대신 ‘전략경선’을 실시하기로 한 데 따른 비판이다.
김상희 의원도 민주당 의원 단체 메신저 방에 “의원들의 절박한 호소에도 박 의원을 기어이 탈락시켰다”라며 “박 의원이 두렵나. 기어이 완벽한 이재명의 당으로 만드는 게 이번 총선 목표냐”라고 따졌다. 앞서 의원 단체 메신저 방에서는 위성곤 의원이 올린 박 의원의 강북을 공천 촉구 글에 친명 좌장 정성호 의원 등 여러 명의 의원이 공감을 표한 바 있다. 정세균 전 국무총리도 지도부에 박 의원의 공천 승계를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이재명 대표는 요지부동이다.
이재명 대표는 정봉주 전 의원의 공천을 취소한 서울 강북을에 전략경선을 치르기로 한 것에 대해 “어떤 경기에서도 승부가 났는데 1등이 문제가 됐다고 차점자가 우승자가 되지 않는다”라고 잘라 말했다. 결선투표에서 2위를 했던 박 의원의 공천은 없다는 것이다.
박용진 의원이 만약 전략경선에 임하더라도 현역의원 평가 하위 10%에 포함된 만큼 ‘경선 득표수의 30% 감산’ 페널티가 적용된다. 도저히 이길 수 없는 족쇄를 그대로 차고 경선에 임해야 하는 셈이다. 아예 대놓고 ‘비명계 박용진 공천은 안 된다’라고 선언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반면 막말 파분의 중심에 선 친문 양문석 예비후보에 대해선 노골적으로 끌어안는 모양새다.
양문석 예비후보는 과거 노무현 전 대통령을 가리켜 ‘불량품’이라고 한 데 이어 ‘매국노’로 지칭한 사실이 추가로 알려졌다.
이에 문재인 전 대통령의 ‘복심’ 윤건영 의원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노무현 대통령님, 죄송하다”라며 “대통령님을 ‘매국노’라고 부른 사람이 ‘민주당’의 후보라고 한다”라고 개탄을 금치 못했다.
그러면서 “부디 민주당의 가치와 명예를 지켜주기 바란다. 결단을 촉구한다”라고 했다.
전직 국무총리들도 입장문을 내고 일제히 이 대표의 ‘결단’을 촉구했다.
정세균 전 총리는 “민주당에 몸담고 국민을 대표하겠다는 정치인이 김대중·노무현을 부정한다면 이는 당의 정체성을 부정하는 것”이라며 “노무현에 대한 모욕과 조롱을 묵과할 수 없다”고 밝혔다.
김부겸 전 총리도 “국민의힘은 도태우·정우택 후보에 대한 공천을 철회했다. 우리 당이 이런 부분에서 미적거리는 모습을 보이면 안 된다”라고 공천 철회를 촉구했다.
하지만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양 후보의 과거 기고는 '표현의 자유'의 영역에 해당한다며 이 같은 요구를 일축했다.
더구나 양문석 예비후보는 2011년 9월 국정감사 기간 중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최종원 의원(민주당)과 서울 강남구의 한 룸살롱에서 KT 임원으로부터 접대를 받아 물의를 일으키기도 했다. 그런데도 단지 ‘친명’이라는 이유로 이를 감싸는 이재명 대표가 과연 정상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이게 비정상이라면 민주당 자체가 비정상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