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는 “특검 수사대상에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개혁신당 이준석 의원은 “선의의 조언일 수도 있다”며 무게를 두지 않는 식이다.
박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정책조정회의에서 "김 여사가 총선 당시 여당 공천에 관여했다는 언론 보도가 나왔다"며 "이 보도가 사실이라면 소문이 무성하던 김 여사의 당무개입과 선거개입, 국정농단이 실제로 있었다는 것이 되기 때문에 경악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특히 "총선 당시 윤 대통령이 전국에서 민생토론회를 열면서 지역별 공약을 쏟아낸 것도 선거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위한 것이라는 점이 명백해졌다"며 "이는 곧 공직선거법 위반"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김 여사의 당무개입과 선거개입, 국정농단 그리고 대통령의 선거법 위반 의혹에 대해 도저히 묵과할 수 없다. 단 한 점의 의혹도 남기지 말고 실체적 진실을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이준석 의원은 "개혁신당도 지난 총선 때 이 건에 관해 제보를 들은 바 있는데, 이 제보는 완결성이 떨어진다"며 "완결성이 있으려면 김 여사의 의중대로 공천해야 했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에서 "김 여사가 (김 전 의원 지역구에)꽂고 싶어한다는 인사를 꽂지도 못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지금 나와 있는 정보만으로는 '미수'인지도 판단이 불가능하다. '아' 다르고 '어' 다른 걸 수도 있는 것"이라며 "(김 여사가 김 전 의원에게)'다른 사람이 거기(원래 지역구인 경남 창원ㆍ의창)에 가려고 하는데, 경쟁해보면 어려울 수도 있으니 다른 선택을 하는 게 어떻겠냐'는 선의의 조언일 수도 있는 것인데, 그걸 개입으로 보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뉴스토마토는 김 여사가 지난 4.10 총선을 앞두고 당시 5선 중진이었던 김 모 전 의원에게 기존의 지역구였던 경남 창원의창이 아닌 김해갑으로 옮겨 출마할 것을 요청했다는 현역의원 2명의 주장을 익명으로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김 여사가 김 전 의원과 주고받은 텔레그램을 통해 김 전 의원에게 선거구를 김해로 이동해 줄 것을 요청했고, 그에 따른 지원 방안 등도 구체적으로 얘기했으나 결과적으로 김 전 의원은 경선에도 참여하지 못했다.
그러나 해당 언론은 이에 대해 당사자인 김 전 의원이 '총선 승리를 위해 스스로 험지를 선택했고 김 여사가 경남 현지 사정을 어떻게 알겠느냐'며 김 여사와 텔레그램을 주고받은 사실 자체를 전면 부인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