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한계, '특별감찰관 추천 건, 공개 의총 표결' 제안에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4-10-28 11:14:54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윤상현 “공멸로 가는 단초 제공…제3의 타협안 필요"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국민의힘 4선 중진인 윤상현 의원이 28일 특별감찰관 추천 논의를 위한 의원총회를 앞두고 공개 토론과 표결 처리를 요구하는 친한계 일각의 주장에 대해 "결국 공멸로 가는 단초를 제공할 것"이라며 "표결을 해서는 안 된다”고 일축했다.


이날 오전 ytn 라디오에 출연한 윤 의원은 “특별감찰관 추천 문제는 하나의 정책 사안이다. 정책 사안을 가지고 의총에서 표결을 한 적이 거의 없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제3의 타협안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윤 의원은 “지금 같은 상황에서 특검법 (표결로)가게 되면 결국 (당이)분열되고 탄핵의 문을 여는 것”이라며 “특검법이 됐을 때 (펼쳐질)끔찍한 시나리오에 대해 의원들이 제대로 알게 된다면 특별감찰관 (문제로 특검법)이탈표가 나오게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한 대표가 표결을 제의할 경우에도)표결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풀자는 제안이 나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한 대표를 향해 “중요한 것은 어떻게 하면 세련되게 의견을 전달할 수 있느냐 이게 더 중요하다”며 “현안에 대해 대통령실의 여러 입장이 있을 텐데 그에 대해 비공개적으로, 좀 더 세련된 방법으로 얘기할 수 있어야 한다”고 조언하기도 했다.


반면 강성 친한 인사인 김종혁 최고위원은 "당원과 국민은 특별감찰관 추천에 대해 우리 의원들이 어떤 주장을 펴는지 알 권리가 있다"며 "공개 의총을 통해 토론과 표결이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날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한 김 최고위원은 "국민의힘은 의원들만의 당은 아니다. 게다가 우리 당 의원들은 영남권에 편중돼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특히 "특별감찰관 같은 논란이 되는 이슈에 대해 원외 당협위원장과 책임당원들 의견도 수렴할 방법을 강구해달라"면서 "대통령이나 대통령 부인이 당 보다 우선시되거나 앞설 수는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대통령은 임기가 끝나면 떠나가지만, 당과 당원은 남아서 보수의 전통을 지키고 역사를 이어가야 하기 때문"이라며 "시민들은 특검까지 받으라고 아우성인데 특별감찰관조차 받을 수 없다고 하면 사적 충성이 공적 의무감을 덮어버렸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특별감찰관 추천을 둘러싼 국민의힘 내홍은 앞서 한동훈 대표가 김건희 여사 문제 해법의 하나로 들고 나오면서 불거졌다.


그동안 민주당이 미온적인 태도를 보여온 북한인권재단 이사 추천과 연계하기 위해 노력해 온 원내 전략과 상충되면서다.


앞서 추경호 원내대표는 특별감찰관 추천 논의를 위한 친한계의 의총 소집 요구에 국정감사가 끝나는 11월 초쯤 개최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상태다.


통상적으로 비공개 의총이 관례인데도 친한계가 특별감찰관 이슈와 관련해 공개 의총을 제안한 데 대해 북한인권재단 이사 연계를 이유로 특별감찰관에 부정적인 친윤계를 압박하기 위한 의도라는 지적이 나온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