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폭로전 명태균' 각종 의혹에 '칼 빼'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4-10-20 11:22:2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국힘, "정치 브로커 구태정치" 진상 조사 착수
민주, '明 수사' 추가한 '김여사 특검법' 또 발의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그동안 명태균씨 '오락가락 폭로전'에 출렁거리던 정치권이 여론조사 조작 의혹 등 명씨를 둘러싼 각종 문제 제기에 칼을 빼든 모양새다. 실제 20일 현재 국민의힘은 박정훈 의원이 발의한 이른바 '명태균 방지법'을 당론으로 추진하는 등 여론조사 조작 근절 의지를 드러냈고 더불어민주당은 '김여사 특검법'을 또 발의하면서 명씨에 대한 수사를 추가한 상태다.


앞서 전날 서범수 사무총장은 "선거운동 과정에서 (명씨의)불법ㆍ탈법적 행위가 없었는지 꼼꼼히 조사하겠다"며 "문제가 있었다면 수사 의뢰 등의 조치를 하겠다"고 결기를 드러냈다.
배준영 원내수석부대표도 "열세인 후보측에서 잘못된 조사를 공신력이 있는 것처럼 무차별적으로 유권자에게 전달해 민심을 휘젓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제도적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상훈 정책위의장은 "선거 민주주의와 정당 민주주의 근본을 훼손하는 일부 여론조작 업체와 선거 공천 브로커들의 행태를 더 이상 좌시해서는 안 된다"며 "현재 선관위에 속한 여론조사심의위원회의 독립성 문제와 여론조사 샘플 수의 합리적 기준 규정문제, 여론조사 결과 보존 기한 연장 문제 등을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또 다시 김여사 특검법을 발의하면서 명씨 의혹을 수사 대상에 추가하고 특히 '김건희가 명태균을 통해 제20대 대통령 선거와 경선 과정에서 불법 여론조사 등 부정선거를 했다는 의혹'이라고 법안에 명시하는 는 등 대여 공세 수위를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여기에 민주당 의원들은 명씨 의혹을 고리 삼아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과 하야를 공개적으로 언급하는 등 김 여사와 연관된 명씨 의혹을 국정 농단 이슈로 키우겠다는 의도를 드러내는 모습이다.


다만 검증되지 않은 명씨의 폭로 이후 상황을 부담스러워하는 속내가 역력하다.


수시로 말을 바꾸는 명씨의 입에 당의 명운을 걸었다가 역풍이 불 경우 당에 치명타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은 것이다.


이른바 명씨가 김 여사와 주고받은 문자 대화록을 공개하는 과정에 등장한 '오빠 논란'만 해도 결과적으로 민주당이 명씨 주장에 따라 춤을 춘 꼴이 됐다.


당시 민주당은 김 여사가 (대화에서)지칭한 '오빠'가 윤 대통령으로 단정하고 김 여사의 '국정 개입' 의혹에 불을 지피며 파상 공세에 나섰다.


이 과정에서 명씨는 "친오빠는 정치를 논할 상대가 아니다"라고 했다가 며칠 뒤 다시 "김 여사 친오빠가 맞다"고 했다. 심지어 일부 언론에는 골탕을 먹이려고 일부러 '친오빠'가 아닌 대통령을 가리켰다며 농담이었다고 얼버무리기도 했다.


정부 정책과 각종 현안 점검의 장이 되어야 할 국정감사도 '명태균 진흙탕'에 빠진 꼴이다.


'대통령실과 무관하다'는 여당과 '제2의 국정농단'이라는 야당 간 충돌로 공전을 거듭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3주차에 돌입하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국정감사는 명씨 의혹을 둘러싼 정쟁이 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21일 명씨 관련 의혹을 제보한 강혜경(김영선 전 의원 회계책임자)씨가 증인으로 출석하고, 25일 예정된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도 야당 의원들이 명씨 등을 다시 증인으로 부를 계획이다.


명씨와 관련한 추가 의혹도 계속 나오고 있다.


특히 20대 대선 직전 명씨 지시로 이뤄진 여론조사 비용을 2022년 지방선거 출마예정자들이 제공했고, 지난 2023년 3월 경남 창원이 국가 첨단 산업단지 후보지로 지정되는 과정에서 명씨가 관여했다는 의혹도 나온 상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