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이재명-김부겸, ‘개헌 견해차만 확인된 ‘빈손 회동’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5-02-25 11:29:25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개헌’ 연결고리로 한 비명계 후보단일화에 힘 실리나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제안으로 성사된 김부겸 전 국무총리와의 만찬 회동이 개헌에 대한 견해차만 확인된 채 ‘빈손’으로 마무리되면서 개헌을 연결고리로 한 당내 비명계의 후보 단일화 가능성에 힘이 실리는 모양새다.


김부겸 전 총리는 25일 “(이 대표와)만난 것 자체가 도움이 되는 것”이라면서도 “당장 한번 만남에서 당 운영에 대한 서로의 주장이나 한국 정치를 바라보는 의견이 좁혀지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오전 SBS 라디오에 출연한 김 전 총리는 ‘만남의 성과가 있었느냐’는 진행자 질문에 “이 대표께서도 속마음을 들었을 테니 당 운영이나 국정운영에 대한 메시지에 대해 좀 더 고민하지 않겠나 싶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두 사람이 합의한 결과물이 없다는 거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수긍했다.


김 전 총리는 만찬 당시 ‘개헌 정치개혁’에 대한 입장 요구에 이 대표가 ‘아직은 탄핵에 집중해야 할 때가 아니냐“고 즉답을 피한데 대해 “(이 대표가)내란종식이 목표라고 하지만 사실 내전 상태까지 가 있는 셈인데 이것까지 종결되려면 다음 대한민국 모습을 어떻게 해야 한다는 합의가 제일 중요하다“면서 ”그 중 하나는 개헌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다“고 견해차를 보였다.


이어 김 전 총리는 여야 간 정쟁이 계속되는 이유로 ’선거제도를 비롯한 여러 정치제도 문제‘를 지목하면서 “정치개혁 화두에 대해 이 대표를 비롯한 정치인들이 비전을 분명히 밝혀야 된다”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키를 쥐고 있는 이 대표의 의사 표현 없이는 현실적으로 개헌이 어렵지 않냐’는 질문에는 “이 대표 본인도 이 문제를 계속 외면할 수는 없다고 판단하는 것 같다”며 “제가 강제할 방법은 없다”면서 이 대표 입장을 기다려보겠다고 여지를 남겼다.


앞서 전날 이 대표와 김 전 총리 만찬 회동 이후 이 대표측 한민수 대변인과 김 전 총리측 오영식 전 의원이 회동 결과를 소개했다.


한민수 대변인은 "김 전 총리는 당 운영에서 상처받고 떠난 사람을 포용할 방안을 요청하고 개헌을 포함해 정치개혁도 필요하다, 이 대표가 개혁의 그림을 그리고 대한민국을 새롭게 만들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고 전하자 오 전 의원도 "개헌 등 정치개혁에 대한 분명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는 김 전 총리의 강한 주문이 있었다"고 밝혔다.


김 전 총리는 만찬 이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개헌에 대한 입장차를 좁히지 못한 데 대해 "저는 '이 정도도 이야기를 안 하면 어떡하냐'고 자꾸 얘기했고 이 대표는 '나도 생각은 있지만 지금은 아니다'라고 하면서 조금 공방이 오고 갔다"고 밝히기도 했다.


한편 김부겸 전 총리는 최근 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탄핵의 강을 같이 걷는 세력들을 다 포괄하는 연합을 이룰 때 대한민국이 다시 탄생할 수 있다"면서 "거기에는 개헌이라는 사회적 합의를 새로 만드는 것부터 시작해서 폭넓게 합의를 이루기 위한 대기획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1987년 체제는 수명을 다했으니 제7공화국으로 새롭게 출발해야 한다”며 “분권형 4년 중임제와 책임총리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정치 체제 개편 필요성도 주장했다.


이를 위해 조기 대선을 실시해 차기 대통령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하는 조기 대선을 실시하고 이후 대선과 총선 주기를 일치시켜 국정 운영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입장도 내놨다.


민주당 잠룡인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도 "여야 합의만 하면 다음 대선에서 국민 투표를 통해 개헌할 수 있는 것 아니냐"면서 "다음 대통령이 누가 되더라도 국민이 불안하지 않도록 만들어야 한다"고 이 대표를 압박하는 모습이다.


그는 최근 페이스북을 통해서도 "국민 불안을 해소하는 개헌에 민주당이 소극적일 이유가 없다"면서 "제2의 윤석열, 제2의 계엄과 내란이 다시는 이 땅에 발붙일 수 없도록 하는 것이 진정한 내란 극복"이라고 강조했다.


여기에 이광재 전 국회 사무총장도 "개헌 논의를 주도하면 대선 승리와 성공한 정부로 나아가는 길이 열린다"면서 "40일이면 할 수 있다"고 개헌 주장에 힘을 실었다.


이를 두고 당내 일각에선 비명계 잠룡들이 ‘개헌’을 빌미로 이 대표를 상대로 한 후보단일화 명분을 찾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