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총선을 60여일 앞두고 난항을 겪던 비례대표 선거제 결정권이 사실상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손에 쥐어졌지만 결론이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강선우 대변인은 4일 비례대표 선거제 논의에 대해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 이 대표에게 포괄적으로 위임하기로 했다"며 "이 대표의 답변 시기는 정해지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호준석 대변인은 “민주당의 정치적 꼼수 셈법으로 선거제 확정이 미뤄지고 있다”며 “국민의 참정권을 침해하는 직무유기”라고 비판했다.
호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이 대표는 하루빨리 입장을 밝히라”면서 이같이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여전히 ‘이 대표의 답변 시기는 정해지지 않았다’, ‘절차 역시 정해지지 않았다’는 민주당을 보고 있자니 이쯤이면 무책임과 무능력함에 기가 찰 노릇”이라며 “‘친명(친이재명) 천지’가 된 지금의 민주당이기에 놀랍지도 않은 결정”이라고 고 지적했다.
정희용 원내대변인도 “민주당이 당대표로부터 완벽히 사당화됐음을 또다시 공개적으로 알리는 셈”이라며 “돌고 돌아 당 대표에게 모든 걸 맡기겠다는 무책임한 결정을 내릴 것 같으면 그동안 정개특위 등에서 선거제 개편에 대해 여야가 함께 논의해왔던 협상과정과 내용들은 도대체 무슨 의미가 있는 것이냐”고 반발했다.
그러면서 "국민이 올바르게 주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쉽고 직관적인 선거제를 만들면 된다"며 "민주당은 조속한 시일 내에 분명한 입장을 내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앞서 이재명 대표는 대선 당시 준연동형 유지를 공약했으나 '멋지게 지면 무슨 소용이냐"며 '병립형 회귀'로 입장을 바꿨고 이에 친명계인 정청래 수석최고위원이 힘을 실었다가 당 안팎의 거센 반발에 부딪히면서 결국 이 대표에 전권을 넘기는 것으로 결정됐다.
그러나 이에 대해 이 대표가 답변시기를 특정하지 못하면서 선거제가 결정되기까지 하세월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실제 정 최고위원이 지난 달 28일 비례대표 선거제 결정을 위한 전 당원 투표를 제안하자 고민정 최고위원이 전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전당원 투표에 기대어 결정하는 것은 책임을 전가하겠다는 무책임한 행동"이라고 반발하는 등 당 안팎에서 논란이 가중됐다.
특히 당 원로인 유인태 전 국회 사무총장은 "천벌 받을 짓은 전부 당원 투표로 한다"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