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이준석-박근혜 리스크 돌파하라

고하승 / gohs@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1-12-27 11:44:5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주필 고하승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부인 김건희 씨가 결국 대국민 사과를 했다.


권경애 변호사의 말처럼 마음고생이 극심했을 테고, 무서웠을 테지만, 잘했다.


물론 상대 진영은 그의 진솔한 사과에도 지금까지 그래왔던 것처럼 조롱을 멈추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사과를 원했던 사람들에게는 의미가 있는 것이고, 이로 인해 윤석열 후보의 ‘부인 리스크’는 상당 부분 해소됐다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상대 진영이 이 문제를 계속 제기하면, 되레 역풍이 불 수도 있다. 국민의힘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아들 도박 문제와 성매매 의혹을 더는 거론하지 않는 것도 그런 이유다.


문제는 윤석열 후보가 넘어야 할 산이 또 있다는 점이다.


먼저 계속해서 내부총질을 해대는 ‘이준석 리스크’다.


오늘도 이준석 대표는 윤 후보의 발언을 문제 삼아 공격하는 모습을 보였다.


윤 후보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선대위회의에서 “선거가 얼마 남지 않아서 비상 상황이고 가장 중요한 시기”라며 “누구든 제3자적 논평가나 평론가가 돼선 곤란하다”라고 지적했다.


윤 후보는 “당은 상명하복의 하이어라키(체계) 조직이 아니다. 당원이 당의 중심”이라며 “당원 누구도 당의 공식 결정과 방침에는 따라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이것은 당 조직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누군가의 지시를 기다리면 안 되고, 스스로 한 사람 한 사람이 대선 후보란 생각을 해달라”며 “지역구에서 조직을 점검·보강하고 국민 지지 결집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윤 후보의 이 같은 발언은 최근 윤 후보와 당에 대한 비판적 발언을 이어가는 이준석 대표를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아니나 다를까.


이준석 대표가 발끈해 “언론이 막혔다”라고 즉각 응수했다.


이 대표는 윤 후보의 이 같은 발언 직후 곧바로 자신의 페이스북에 “누구나 본인이 속한 조직에서 더 나은 결과를 위한 제언을 하는 것이 민주주의라고 생각한다”라며 “당 대표가 당을 위해 하는 제언이 평론 취급받을 정도면 언로는 막혔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라고 지적했다.


사실 이준석 대표가 이처럼 윤석열 후보를 비판하는 모습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지난 3월 6일 대구 매일신문 유튜브 채널 ‘매일신문 프레스18’에 출연해 “만약 윤석열이 대통령이 되면 지구를 뜨겠다. 유승민 전 의원을 대통령으로 만들겠다”라고 밝혔던 이준석 대표는 그 이후 사사건건 윤석열 후보와 충돌했다.


이른바 ‘윤핵관’이라는 가상의 인물을 만들어 놓고, 그와 충돌하는 장면을 연출하는 것으로 사실상 윤 후보를 저격하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민주당이 연일 이준석 대표를 응원하는 기이한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 이로 인해 윤석열 후보의 지지율이 조금씩 빠지고 있음은 두말할 나위 없다. 하지만 이준석 리스크는 윤 후보의 강력한 리더십으로 얼마든지 돌파할 수 있다. 이른바 ‘울산 회동’과 같은 굴욕적인 모습을 재연하지 않고 당당하게 ‘홀로서기’를 선언하면 된다.


문제는 윤 후보의 리더십만으로는 뛰어넘기 어려운 ‘박근혜 리스크’다.


박근혜 전 대통령 사면 소식 이후 윤 후보의 TK 지지율이 급격하게 추락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잇따르고 있다.


야권 일각에선 문재인 대통령이 이걸 것을 노리고 박 전 대통령을 사면한 게 아니냐는 의구심까지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이건 어차피 야권이 떠안아야 할 문제이고 극복해야 할 문제다.


그런데 윤석열 캠프는 이 문제에 대해선 아예 처음부터 대비조차 하지 않았다. 윤석열 후보도 권성동, 임태희 등 친이계를 중용하면서 정작 친박계는 멀리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친박계 인사들 가운데는 권영세 의원과 김선동 전 사무총장 등 권력의 핵심에서 멀리 있어서 국정농단 사태와 무관한 인사들도 많다. 그런데 권영세 의원이 특보단장을 맡은 것 외에는 눈에 띄는 친박계 인사는 없다. 그러다 보니 윤석열 후보와 박근혜 전 대통령의 악연(惡緣)이 인구에 회자 되고, TK 민심마저 윤 후보에게 등을 돌리게 되는 것이다.


이 문제는 김선동 전 사무총장 같은 사람들을 중용하는 것으로 얼마든지 돌파해 나갈 수 있다.

 

이 간단한 해결책을 외면하고 주변 친이계 인사들의 말에 휘둘려 자꾸 다른 방법만 모색하다 보면 시기를 놓칠 수도 있다. 문제가 앞에 다가왔을 때는 우회하기보다는 정면으로 돌파하는 게 최선책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