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의원은 이날 오전 MBC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지역본부라든지 휴직자 빼고 안보조사국의 경우 130명이 출근을 했고, 그 중 과장급 이상은 20명 정도인데 일선에 있는 직원들이 불법 내란을 막기 위해 출근한 건 아닐 것”이라면서 “아무리 계엄이라고 해도 누가 시키지도 않았는데 한 부서에 130명이나 조직적으로 출근했다는 건 당연히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조태용 전 국정원장의 지시가 있었다고 보는가’라는 질문에 “당연히 지시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그동안 내란과 관련해서 파헤칠 게 너무 많아서 국정원은 관심 밖이었는데 그 틈을 이용해 은근슬쩍 빠져나가려고 했던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어 “조태용 전 원장이 내란의 중요임무종사자라고 본다”며 “대통령에게 국정원이 해야 할 문서를 받아왔고, 문서의 내용을 누군가에게 검토해보라고 지시했을 가능성이 아주 높다. 그리고 국정원의 주요 부서의 직원들, 요원들을 동원할 세부 계획까지 세웠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또 국정원의 ‘비상계엄 선포시 조치사항’이라는 문서와 관련해 “문서 작성자는 모든 걸 자기가 알아서 스스로 한 일이라고 주장하고 있는데 이런 엄청난 일을 직업 공무원 스스로 절대 할 수 없다는 생각”이라며 “분명히 상부의 지시가 있었고 그 지시에 따라 불법 내란에 가담하기 위해 작성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우선 (국정원)내부 감사는 지금 진행 중”이라며 “윗선의 지시는 최종 감사 결과를 봐야하겠지만 누군지 분명하다. 그동안 윤석열씨와 조태용 전 원장의 워딩을 보면 상식적 추론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윤건영 의원은 지난 8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해당 문건을 소개하면서 “국정원이 계엄사령부와 합동수사본부에 인력 파견 방안을 검토하고 조사팀 구성ㆍ활동 계획까지 세웠던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고 말했다.
윤 의원은 “그간 국정원은 조태용 전 원장이 국무회의에 참석하고 윤석열 전 대통령의 일방적 지시를 전달받았을 뿐 국정원 차원의 어떤 행동도 한 것이 없다고 주장해왔으나 이런 주장이 거짓으로 드러난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