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불어민주당이 대선과 지방선거에서 연이어 패배한 것은 누구의 책임일까?
친문(친 문재인) 진영에선 ‘이재명 책임론’을 제기하고 있으나 친명(친 이재명) 진영에선 ‘문재인 책임론’이 나왔다.
서로 “네 탓”이라며 상대 진영을 향해 손가락질을 해대는 그 꼴이 참으로 가관이다.
민주당은 23일부터 충남 예산군의 한 리조트에서 워크숍을 열고 1박 2일간 당 혁신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아니나 다를까. 첫날부터 ‘이재명 책임론’이 터져 나왔다.
비공개 토론회에서 이 의원이 참석한 탓에 비판 수위는 그리 높지 않았으나 “당 지도부와 후보 등 선거를 이끌었던 사람들이 선거 패배에 책임져야 한다”, “대선 패배 뒤 지방선거와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이재명·송영길 후보를 선출한 과정이 적절했느냐, 그 과정에 문제가 있어서 결과가 이렇게 나온 것이 아니냐”라는 뼈아픈 지적이 나왔다.
이에 맞서 친명계 양문석 전 더불어민주당 경남 통영·고성 지역위원장은 잇단 선거 패배의 원인으로 문재인 대통령의 우유부단함을 지적했다.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을 지낸 양 전 위원장은 6·1 지방선거에서 경남지사 민주당 후보로 선거에 출마했으나 29.4%의 저조한 득표율로 낙선했고, 그 직후 “평생 처음으로 특정인(이재명)을 지지한다”라며 친명계임을 공개 선언한 인사다.
양 전 위원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자폭하는 심정으로 금기를 깨겠다. 설왕설래의 종지부를 찍고 싶다”라면서 “대선 패배, 지선(지방선거) 패배의 원인은 문재인 대통령의 우유부단함이 핵심 중 핵심”이라고 주장했다.
또 “문재인정부의 이낙연·정세균·김부겸 총리의 무능이 원인”이라고도 했다.
앞서 그는 민주당의 지선 참패 이후 ‘이재명 책임론’을 제기한 친문 의원들을 향해 ‘쓰레들기들’ ‘바퀴벌레’ ‘빈대’ 등의 표현을 써가며 원색적으로 비판하기도 했다.
이재명 탓이라는 친문이나 문재인 탓이라는 친명이나 한심하기는 마찬가지다.
물론 대선 패배는 문재인 전 대통령의 책임이 크다.
오죽 못났으면 6공화국 출범 이후 5년 만에 정권을 내어준 유일한 대통령이라는 오명을 안고 물러났겠는가.
문재인 전 대통령은 임기 말에도 40%대의 비교적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계속 갈라치기를 한 탓에 그런 지지율을 유지할 수 있었다. 내 편 네 편을 나누는 대립과 반목의 정치로 견고한 지지율을 유지했다는 말이다. 그 대가는 혹독했다. 나머지 50%가 등을 돌리고 말았다. 실제로 대선 과정 내내 “정권교체” 여론이 “정권유지” 여론을 압도했다.
따라서 대선 패배는 “문재인 탓”이라는 친명계의 지적이 전혀 엉뚱한 것만은 아니다.
하지만 이재명 후보는 문제투성이였다. 이 후보가 아니라 다른 후보가 나왔더라면 승리했을지도 모른다. 그런 점에서 이재명 책임론을 제기하는 친문 인사들의 주장 또한 잘못된 것은 아니다.
특히 지방선거는 이재명 의원의 출마로 완전히 죽을 쓰게 만들었다. 모든 시선이 이재명에게 쏠리면서 경쟁력 있는 민주당 후보들이 곳곳에서 낙선의 고배를 마셔야 했다.
그런데도 “문재인 탓”이라는 친명계와 “이재명 탓”이라는 친문계를 보면 아직도 정신을 차리지 못한 것 같다. 대선과 지선에서 회초리를 맞았다면, 차기 총선에선 몽둥이로 맞게 될 것이 불 보듯 빤하다.
친문이든 친명이든 지금은 나설 때가 아니다. 납작 엎드려 그간의 잘못에 대해 반성할 줄 알아야 한다.
말로는 통합을 강조하면서도 5년 내내 갈라치기 정치를 한 것에 대해 친문계는 겸허하게 반성해야 한다. 법사위원장과 상임위원장까지 독식한 입법독재에 대해서도 국민 앞에 용서를 구해야 한다. 친명계는 대통령선거에서 패배하고도 거대 의석수를 앞세워 이른바 ‘검수완박’을 강행한 그 오만함에 대해 반성하고, 국민 앞에 무릎을 꿇어야 한다.
특히 ‘방탄조끼’를 입기 위해 인천 계양을 선거에 명분 없이 뛰어든 이재명 의원은 석고대죄해야 한다. 그런데도 반성 없이 더 두터운 ‘방탄조끼’를 입기 위해 8월 전당대회에 출마한다면 이재명 본인은 물론 민주당까지 파멸의 구렁텅이에 빠지고 말 것이다. 마지막 경고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