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부부 겨냥했던 '명태균 게이트', '이준석 공천개입' 의혹으로 번지나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4-11-14 11:51:35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공천 발표 전날 李 '김영선, 경선' 취지의 메시지 명씨에 보낸 이유 두고 논란
李 "明, '金 단수공천'으로 잘못 알고 있어 '공관위 경선 진행' 들은대로 전달"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명태균 게이트' 정국에서 윤석열 대통령 부부를 겨냥했던 2022년 재보궐선거 '공천 개입' 의혹이 당시 당 대표였던 개혁신당 이준석 의원 쪽으로 번지는 양상이다.


14일 현재 이 의원을 둘러싼 핵심 의혹은 경남ㆍ창원 의창 보궐선거 공천 발표 전날인 2022년 5월9일 새벽, 명태균씨에게 '(해당 지역 후보를)경선으로 선출한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보낸 배경이다.


이 의원은 그동안 당시 윤상현 공천관리위원장이 전권을 가지고 있었던 만큼 자신의 개입은 불가능하고 김영선 전 의원이 공천된 건 공천 기준에 비춰 가장 경쟁력 있는 인물이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해 왔다.


특히 명씨 변론을 맡은 김소연 변호사는 "이준석이 악의 축"이라며 이 의원을 이번 사건의 주범으로 몰아가는 모습을 보였다.


실제 김 변호사는 지난 12일 "이 의원이 명씨에게 (논란이 된)메시지를 보내지 않았더라면 명씨가 윤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지 않았을 것이고, '명태균 게이트' 정점으로 평가되는 '윤 대통령 음성파일' 논란도 불거지지 않았을 것"이라는 취지의 글을 페이스북에 올리면서 이같이 주장했다.


여기에 더해 TV조선은 전날 '강혜경씨측에 따르면 2023년 3월 이준석이 의뢰한 여론조사를 강씨에게 지시했고 2021년 6월 국민의힘 전당대회 때 이 의원을 위한 공짜 여론조사를 제공했다.

특히 '2021년 8월8일 안동 예천 당협 행사 당시 3000만원으로 책정된 이준석 대표 출연료가 미래한국연구소 계좌로 입금됐다'고 김태열 미래한국연구소 대표가 검찰에 진술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이 의원은 이날 인천공항에 입국해 기자들과 만나 "(당시)명태균 사장은 본인이 대통령에게 얘기해 (김영선 당시 예비후보가)(단수)공천 받는 것처럼 잘못 알고 있는 것 같아 공관위 쪽에 그런 기류가 없고 공관위는 일상적인 절차로 (경선을)진행한다고 들어서 (그대로)전달해준 것"이라며 명씨에게 해당 메시지를 전송한 사실은 시인했다.


이어 '공천 확정 전날이라 경선이 불가능한 시점인데 왜 그런 문자를 보냈냐'는 질문에는 "경선을 할 수 없다는 건 안심번호 경선을 할 수 없다는 것이고 우세지역 같은 경우 막판에 유선전화 경선하는 경우도 있었다"며 "공천이란 게 파란만장하기 때문에 김영선 단수(공천) 준다든지 이런 분위기가 확인된 게 없어서 전언한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그러면서 '명씨가 잘못 알고 있어서 얘기해 줬다는 건 (당시)윤석열 당선인과 소통한 것이냐'는 질문에는 "만약 윤 대통령이 그런 낌새가 있었으면 어떻게든 인지를 했을 것"이라며 "공관위에서 저한테 전달한다든지 그런 게 없었기 때문에 (단수 공천)분위기가 아니라고 (명씨에게)얘기한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그는 '특정인에게 들은 게 아니고 전언을 전달한 것이냐'는 질문에 윤상현 (당시)공관위원장과 2022년 5월7~9일 무렵 창원 의창 관련 얘기를 나눈 적이 없다고 전제하면서 "그렇다. 결과적으로 틀린 말이었잖나. 저도 공관위에다 직접적으로 이걸 물어볼 상황은 아니었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2021년 전당대회 당시 미래한국연구소의 '무상 여론조사 지원' 주장에 대해서도 "명태균 사장이 저를 위한 여론조사를 해서 제가 결과치를 제공한 일은 없다"며 "(미래한국연구소의)PNR 여론조사는 매주 하던 조사였다"고 반박했다.


'3000만원 출연료설'에 대해서도 페이스북을 통해 "지방언론사가 국민의힘 안동 예천 당협과 공동주최한 행사에 3000만원의 출연료를 받는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되고 국민의힘 대표가 당협 행사에 가는데 왜 돈을 받냐"고 부인하면서 "2021년 6월 전당대회도 제가 무슨 조사를 의뢰했다는 건지 결과지를 확보해 보도하라"고 요구했다.


하지만 '칠불사 회동' 등 명씨와의 인연을 뒷받침하는 여러 정황 증거가 드러나면서 이 의원이 이번 사태에 선을 긋는 건 쉽지 않아 보인다. 최근 윤석열 대통령 취임 하루 전 김영선 전 의원 공천 문제를 명씨와 의논한 '카카오톡 메시지'를 검찰이 확보하면서 이 의원의 공천 개입을 의심하는 눈들이 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