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00만 당원이 투표에 참여하는 시스템이라면 그거야말로 민심을 가장 정확하게 반영하는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더구나 그게 공직 후보를 선출하는 것이 아니라 당직자를 선출하는 전당대회의 경선룰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사실 필자는 이미 오래전부터 ‘100% 당원투표’를 주장해 왔다.
2015년 4월 15일 <김무성-문재인, 그대들이 당의 주인인가?>라는 제목의 칼럼을 통해 당시 여야 대표가 그동안 100% 책임당원과 권리당원투표로 당직자와 공직 후보를 선출하던 것을 ‘민심 반영’이라는 명분 아래 여론조사를 일부 반영하는 방식으로 경선 룰을 바꾼 행태를 비판한 바 있다. 그건 정당의 원칙에 맞지 않기 때문이었다. 투표권은 꼬박꼬박 당비를 내면서 당을 지켜온 당의 주인인 당원들에게 돌아가는 게 원칙이기 때문이다.
앞서 2011년 2월 15일에는 <경선, 엉터리 여론조사 퇴출>이라는 제목의 칼럼에서 여론조사를 경선에선 반영해선 안 된다는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이후 당내 경선이 있을 때마다 이런 주장을 계속해서 펼쳐왔다. 벌써 12년 전의 일이다.
그런데 유승민 전 의원은 마치 ‘100% 당원투표’ 주장이 이전에는 전혀 없다가 이번에 자신을 떨어뜨리기 위해 급조된 것처럼 헛소리하고 있으니 황당하기 그지없다.
그동안 여야가 여론조사를 반영하는 경선을 한 것은 포퓰리즘으로 매우 비정상이었다. 이번 국민의힘 결정은 그런 ‘비정상’을 ‘정상’으로 바로잡는 개혁적인 결정이라는 점에서 박수를 받아 마땅하다.
실제로 국민의힘은 20일 오전 국회에서 상임전국위원회를 열어 ‘당원투표 100%’와 ‘결선 투표제’, ‘역선택 방지 조항’ 도입 등을 골자로 한 당헌·당규 개정안 작성 및 발의 안건을 원안대로 가결했다.
이에 따라 상임전국위는 전날 비상대책위원회에서 의결한 내용을 담아 당헌·당규 개정안을 작성한 뒤 오는 23일 열리는 전국위원회에 개정안을 발의할 예정이다.
23일 오전 소집되는 전국위원회와 같은 날 오후 열리는 상임전국위 의결을 마치면 전당대회 룰 변경을 위한 당헌·당규 개정 절차는 모두 마무리된다.
앞서 비대위는 지난 19일 현행 당헌에 ‘7대3’(당원투표 70%·일반 국민 여론조사 30%)으로 명시된 대표 선출 규정을 변경해 당원투표 비율 100%로 차기 지도부를 뽑기로 했다.
당 대표 경선에서 최다득표자의 득표율이 50%를 넘지 않는 경우 1·2위 득표자가 다시 맞붙는 결선투표 제도도 보수정당 사상 처음으로 도입하기로 했다.
이번 주 전대 룰 개정 작업이 완료되면 내주 전당대회 선관위원장이 지명되고 다음 달 초 후보 등록을 받는 등 내년 1월부터 본격적인 당권 레이스의 막이 오를 전망이다.
당연한 결정이고 이를 환영한다.
그런데 유승민 전 의원의 전대룰 개정을 '승부 조작'이라고 길길이 날뛴다. 100만 당원들에게 투표하자는 걸 어떻게 ‘승부 조작’으로 규정하는지 알다가도 모르겠다.
오히려 민주당 지지층의 압도적 지지를 받아 여당 대표가 되겠다는 게 ‘승부 조작’ 아니겠는가.
안철수 의원도 “골목 대장을 뽑는 것이냐”라며 발끈했다.
당원들이 당 대표를 뽑는 것을 반대하는 것은 당원을 폄훼하는 것으로 비난받아 마땅하다.
100만 당원을 ‘승부 조작’이나 하는 패거리로 규정하거나 ‘골목에서 노는 철부지 아이들’ 취급하는 자들은 당원을 대표할 자격이 없는 자들이다.
솔직하게 털어놓고 말해보자.
국민의힘이 잘 되기를 바라는 사람들은 국민의힘 당원일까, 아니면 민주당 당원이나 민주당 지지층일까.
누가 봐도 국민의힘에 당비를 꼬박꼬박 낸 당원들 아니겠는가. 그렇다면 그들에게 자신들을 대표할 당 대표 선출권을 100% 부여하는 건 지극히 상식적인 일이고 정당한 일이다.
이를 반대한다면 그건 당원들의 마음을 얻을 자신이 없다는 것으로 차라리 불출마를 선언하는 게 맞다. 분명하게 말하거니와 100만 당원의 마음이 곧 민심이다.
당심과 민심의 괴리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당에 대한 애정이 없는 사람들이다. 당심과 민심은 분리할 수도 없거니와 분리되어서도 안 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