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훈 의원은 이날 오전 CBS 라디오에서 “(한 대표가 제안한)제3자 특검법의 핵심은 대법원장이 추천하는 것”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어 "한 대표 생각을 따르는 것처럼 하지만 실제적으로 민주당이 특검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려는 특검법”이라며 “결국엔 민주당이 원하는 방식을 고집하겠다는 뜻"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여론전에서는 어느 정도 힘을 받을 수 있겠지만 실질적으로 한 대표를 움직이거나 한 대표의 뜻을 존중하는 저희 당의 의원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없다”고 일축했다.
특히 한 대표가 특검법 발의를 포기했다는 보도에 대해 "친한계 인사들이 모인 텔레그렘방에 한 대표가 직접 (관련)기사와 함께 '오보입니다'라고 올렸다'고 전하면서 “한동훈 대표는 약속을 지키겠다는 뜻은 분명하다. 거기에 대해서는 1도 흔들리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 대표 제안에 야권이)진짜로 호응을 해 줘야 이 문제가 순리대로 풀릴 수 있다"고 말했다.
권성동 의원도 "법률적 야바위"라면서 "결국 야당이 '특검쇼핑'을 하겠다는 뜻"이라고 날을 세웠다.
권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야당이 대법원장 추천 인사를 압축하고, 입맛에 맞을 때까지 특검을 고를 수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앞서 민주당, 조국혁신당, 진보당, 기본소득당, 사회민주당 등 야 5당은 전날 대법원장이 특검 후보 4명을 추천하면 야당(교섭단체 1명ㆍ비교섭단체 1명)이 2명을 선택하는 내용의 채상병 특검법을 발의했다.
다만 대법원장이 추천한 후보 4명이 모두 부적절하다고 판단될 경우 야당이 다시 추천을 요구할 수 있는 ‘재추천 요구권’이 추가된 반면 한 대표가 제안했던 '제보공작 의혹'은 배제되면서 여야 간 갈등이 불가피해졌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