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관계자는 11일 “과거에는 선거 직전 집중적으로 인재를 영입했지만 앞으로는 평시에도 당 외부의 경쟁력 있는 인사를 적극적으로 끌어오겠다는 게 한동훈 대표의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당 관계자는 “당 지도부는 인재영입위원장 후보군 물색 등 인재영입위원회 상설화를 위한 준비 작업을 진행 중”이라며 “사실상 '평시 공천 루트'가 생기는 셈인데, 일부에선 '물갈이'에 대한 긴장감도 흐르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인재영입위원회는 국회의원 선거 등 각종 선거에서 뛸 후보군을 영입하는 당내 기구다. 선거에 임박해 급조되는 방식으로 인재 투입이 진행됐던 그간에는 '보여주기식'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한 대표는 앞서 "인재영입위원회를 상설화하고 강화해 상시적으로 인재 발굴과 영입 교육을 하는데 당의 사활을 걸 필요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한 대표의 이같은 지적은 지난 총선 과정에서 한 대표가 선제적인 인재 영입의 필요성을 절감한 결과와 무관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실제 한 대표는 중도ㆍ청년ㆍ수도권(중수청) 외연 확장을 줄곧 외쳐왔다. 국민의힘이 지난 4월 총선에서 중도ㆍ청년ㆍ수도권으로부터 외면받은 만큼 이들을 공략한 인재 영입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영입 케이스로 22대 국회에 진출한 진종오 청년 최고위원도 청년인재영입 태스크포스(TF) 구성을 주도하고 있다.
당 관계자는 "당면한 선거가 없으니 미리 사람을 뽑고, 이들이 당선되도록 키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컸다"라며 "과거에도 낙하산처럼 공천을 받고 지역에 내려가, 선거에서 지는 경우가 많았으니 선거 승리를 위해 미리 준비하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지도부의 인재영입위원회 상설화 방침을 두고 '한동훈 대표의 친정 체제를 공고화하려는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한 여권 관계자는 "인재 영입은 너무나 필요한 일"이라면서도 "지금 당협위원장이 없는 '사고 당협'이 많은데, 이쪽을 중심으로 한 대표측 인사들이 배치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특히 '원외 인사들에 대한 물갈이 신호탄'이라는 분석에 힘이 실린다. 사고 당협 뿐 아니라 여러번의 선거 실패로 경쟁력 없음이 확인된 현 당협위원장도 교체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게 지도부 방침이다.
모 당협위원장은 "영입 인재는 필연적으로 기존 인사와 충돌할 수밖에 없다"며 "결국 물갈이를 하겠다는 것 아니냐"고 반발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