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거버넌스] 서울 중구, ‘담배꽁초와의 전쟁’ 선포

여영준 기자 / yyj@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3-11-14 12:57:21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韓銀광장 쉼터에 '개방형 흡연부스'… 거리 흡연 갈등·꽁초 투기 차단
15개洞 주민들 명동 일대서 수거 캠페인·퍼포먼스등 펼쳐
CCTV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추진… 이동식 카메라 재배치
공무원·경찰등 투입해 꽁초 무단투기 연말까지 집중 단속
▲ '담배꽁초 없는 깨끗한 중구 만들기 캠페인'에 참여한 김길성 구청장(가운데) 및 참석자들이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사진=서울 중구청 제공)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서울 중구(구청장 김길성)가 꽁초와의 전쟁을 선포했다.


중구는 지난 10일 한국은행 앞 광장 쉼터에서 ‘담배꽁초 없는 중구 만들기 선포식’을 열었다.

지역 주민, 명동 상인회, 남대문경찰서 및 서울시 관계자 등 200여명이 참석해 ‘담배꽁초와의 전쟁’을 선포하는 결의문을 낭독했다.

이후 주민들은 담배꽁초를 쓰레기통에 버리는 퍼포먼스를 벌였다. ‘담배꽁초를 무단투기하지 말고 쓰레기통에 제대로 버리자’라는 메시지를 시민들에게 전하기 위해서다.

앞서 구는 지난 10월25일 한국은행 앞 광장 쉼터에 자연환기식 개방형 흡연 부스를 시범 설치했다. 담배꽁초도 흡연 부스에 설치된 쓰레기통에 직접 버리도록 유도해 흡연 부스 주변의 청결함이 유지되고 있다.

<시민일보>는 담배꽁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의 정책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

■ 담배꽁초 수거 행사 진행 

▲ 캠페인에 참여한 김 구청장 및 주민들이 담배꽁초를 줍고 있다.

지난 10일 오전 내내 구의 15개 동 주민들은 골목길에 버려진 담배꽁초를 수거하는 행사를 진행했고 이때 수거한 꽁초를 캠페인장에 가져와 퍼포먼스에 활용했다.

이후 참가자들은 서울 중앙우체국, 명동예술극장을 지나 하나금융그룹 흡연 부스까지 행진하면서 바닥에 버려진 담배꽁초를 줍고, 금연 구역에서 담배를 피우는 흡연자를 계도했다.

담배꽁초는 화재 뿐만 아니라 토양과 해양오염을 유발하고 빗물받이를 막아 침수를 일으키는 등 폐해가 크다. 캠페인 참여자들은 담배꽁초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홍보물도 배부했다.

코로나19 이후 명동 상권은 늘어난 외국인 관광객들로 활기를 되찾고 있다. 명동이 깨끗해야 서울에 대한 깨끗한 이미지를 관광객들에게 줄 수 있다는 믿음으로 구는 선포식 이후 명동을 첫 캠페인 장소로 정했다.

지저분하게 방치된 거리에서 범죄가 더 쉽게 일어난다는 ‘깨진 유리창의 법칙’도 고려했다.

■ 자연환기식 개방형 흡연 부스 시범 설치
▲ 개방형 흡연 부스.

앞서 구는 지난10월25일 한국은행 앞 광장 쉼터에 자연환기식 개방형 흡연 부스를 시범 설치했다.

구는 최근 흡연자와 비흡연자 간의 갈등이 심화되고 담배꽁초 무단투기가 늘어나는 것에 대한 원인을 ‘흡연 구역이 명확하지 않다는 것’으로 봤다.

금연 구역이 계속 증가하는 반면 흡연 구역이 명확하지 않다 보니 흡연자들이 길거리를 점유하게 돼 문제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이에 구는 평소 흡연자와 비흡연자 간의 갈등이 잦았던 곳에 제대로 된 흡연 구역을 조성하는 ‘분연(分煙) 정책’을 시행, 인근 주민과 상인들의 민원이 줄어드는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담배꽁초도 흡연 부스에 설치된 쓰레기통에 직접 버리도록 유도해 흡연 부스 주변의 청결함이 유지되고 있다.

■ 연말까지 집중 단속
▲ 주민들이 담배꽁초를 쓰레기통에 버리고 있다.

구는 앞으로도 담배꽁초와의 전쟁을 계속 이어나간다. 구청 직원, 경찰 등 28명이 담배꽁초 무단투기와 금연 구역 흡연행위에 대해 연말까지 집중단속에 나선다.

지난 10월 설치한 개방형 흡연 부스의 시범 운영 결과를 토대로 오는 2024년에 추가 설치도 검토한다.

또 폐쇄회로(CCTV)를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동식 단속카메라를 상습 투기 지역으로 재배치해 담배꽁초 무단투기도 뿌리 뽑는다는 계획이다.

김길성 구청장은 “중구는 담배꽁초 문제를 선도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강력한 의지를 갖고 꽁초와의 전쟁을 선포하고, 흡연자들의 편의를 위해서도 개방형 흡연부스 설치, 전용 수거함 확대 설치 등 많은 힘을 쏟아붓고 있다”며, “앞으로 흡연자와 비흡연자 모두가 ‘흡족’할 수 있는 정책을 펼쳐 행정력 낭비를 줄이고 쾌적한 도시를 가꿔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