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국민의힘과 민주당의 정당 지지도는 오차 범위내에서 역전됐고 광주에서조차 탄핵 반대 집회에 만만치 않은 인파가 몰렸다. 보도에 따르면 탄핵반대 집회가 찬성집회보다 3배에 달하는 압도적 규모였다고 한다”라면서 이같이 지적했다.
특히 전 대표는 문형배 헌재 소장 대행에 대해서도 “조급한 진행과 성급한 판결 시도, 재판장답지 않은 노골적인 감정 표현, 공정성 시비 논란을 자초한 재판 진행은 헌재의 심리를 지켜본 국민들에게 탄핵 찬반을 떠나 거부감을 주기에 충분했다”면서 “결국 양박두병(박선원, 박범계, 김병주, 김병기 등 민주당 의원)의 정치적 사욕과 선거법 판결에 쫓기는 조급증을 숨기지 못한 명문 시너지의 부작용이 국가적 걱정거리가 된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헌재의 판결로 혼란을 종결하기는커녕 더 격렬한 혼란을 낳을 가능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며 “헌재가 남은 과정만이라도 신뢰 회복 노력을 해서 심각하게 훼손된 헌법재판소의 신뢰와 공정이 바로 세워질 수 있기를 절박한 심정으로 기대한다”고 촉구했다.
또한 전 대표는 “내란 사건의 중대 증언을 사적인 채널로 사유화하려던 정치적 사욕과 경솔함이 결정적 증언을 오염시킨 결과를 초래했고, 결국 탄핵 반대 여론 확산의 원인이 됐다”며 “‘양박두병’이 내란의 결정적 증언을 개인 채널이나 사적 면담을 통해 공개한 행위는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렵다”고 거듭 비판했다.
이어 “현역 장성(곽종근 윤군특수전 사령관)과 국정원 2인자(홍장원 전 1차장)가 야당 의원들(박선원 김병주)와 사적 연고를 통해 접촉하고, 최초의 진술을 야당 의원들의 개인 창구를 통해 발설한 부적절하고 비난받아 마땅한 내막 또한 수사해야 할 사안”이라면서 “김병주 의원과 곽종근 사령관은 과거 직속 상하 관계였다는 것을 스스로 실토했고 홍장원 1차장은 국정원 기조실장 출신인 박선원 의원과 사전 문자를 주고받았음이 확인됐다”고 강조했다.
또한 “언론에 (정치인) 체포 명단을 최초 공개한 김병기 의원은 홍장원 차장과 특별한 유착 관계가 있다는 보도가 일부 언론에서 터져 나왔다”며 “김병기 의원은 2016년 정보위원회 간사 시절, 자신의 아들을 국정원에 특채시켰다는 의혹이 제기됐고 (그 과정에) 홍 차장 역할이 결정적이었다는 새로운 의혹이 언론에 제기됐다”며 “김병기 의원 아들 특채 의혹은 2016년 당시 한겨레신문을 중심으로 보도되며 이슈화됐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특히 홍장원이 조태용 원장에게 이재명 대표와 통화를 권유한 것이 사실이라면, 이미 이재명 세력과 유착을 스스로 자백한 것과 다름없다”며 “이처럼 핵심 증언자들이 모두 ‘양박두병’과 특별한 유착 의혹이 있다는 점, 실제로 곽종근이 민주당에서 공익 제보자로 보호받으려 시도했다는 점도 의혹을 가중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