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23년 이재명 대표 체포동의안 국회 표결 당시 찬성표를 던진 의원들을 색출해내면서 “'매국노’는 당을 떠나라” 등으로 핍박했던 민주당이 할 말은 아니라는 것이다.
실제 민주당 의원들은 거친 표현을 동원해가며 권 원내대표를 성토했다.
정성호 의원은 이날 SBS 라디오 인터뷰에서 “헌법과 법률과 양심에 따라 표결한 국회의원을 당의 원내대표가 탈당하라고 하는 것은 민주정당이 아니라는 것을 자백한 것”이라면서 “김 의원도 국민이 선출했기 때문에 (탈당 권유는)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고민정 의원도 MBC 라디오에서 “삼류 조폭만도 못한 행위”라면서 “윤석열의 탈당을 권유할 배포도 없으면서 어디다 대고 동료 의원한테 그런 얘기를 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강유정 의원도 전날 “대체 어느 민주 공화정의 원내대표에게 동료에게 그런 폭군 같은 태도를 보이느냐”며 “지금이 왕정 시대냐”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권 원내대표는 민주주의 훼손을 당장 멈추라”며 “왜 애먼 동료 의원들을 닦달하는 것이냐”고 몰아세웠다.
하지만 민주당은 2003년 이재명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이 본회의에서 가결된 직후 당시 친명계 중심으로 ‘찬성표 의원’에 대한 징계와 출당을 요구하며 색출 작업에 나선 바 있다.
특히 강성 친명계 조직인 ‘더민주전국혁신회의’는 당시 논평을 통해 “당 대표 체포동의안에 가결표를 던진 행위를 사욕을 위해 당을 팔아먹은 ‘매당’ 행위로 규정한다”면서 “구한말 나라를 판 ‘매국노’의 그것과 다르지 않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 대표 체포동의안을 찬성한)39명 의원은 민주당에 있을 이유가 없다”며 “서둘러 당을 떠나라”고 압박하기도 했다.
‘체포동의안 찬성’이 ‘해당 행위’라는 주장도 있었다.
서영교 의원은 당시 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가결표를 던졌다고 밝힌 설훈 의원을 향해 “당에 해를 끼치는 행위에 대해 (징계)절차를 만들어 나갈 수밖에 없다”면서 “이에 대한 당헌ㆍ당규상 절차가 있다”고 말했다.
심지어 민주당은 당론 위반자에 대해 향후 선거 공천 과정에 영향을 미칠 정도의 징계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2024년 5월 당시 당 ‘당헌당규개정’ TF 단장을 맡고 있던 장경태 의원은 기자회견을 열고 “당론에 대한 결정 과정은 (당헌ㆍ당규에)명시돼있는데 (이를)위반할 경우 제재 규정이 없어서 이를 명문화할 예정”이라며 “추후 (공천 등에 대한)가ㆍ감산 적용 비율은 총선기획단에서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관계자는 “민주당의 총선 공천 과정에서 ‘비명(비이재명) 횡사’의 근거가 됐던 ‘현역의원 평가’에 체포동의안 찬성표 행사가 영향을 줬다는 것은 삼척동자도 알고 있는 사실 아니냐”라며 “자기들은 맞고 남은 틀렸다는 전형적인 ‘내로남불’”이라고 질타했다.
앞서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도 전날 쌍특검법(내란ㆍ김건희 여사 특검법)에 대한 국회 재표결에서 찬성 투표를 했다고 밝힌 김상욱 의원에게 탈당을 권유했다고 밝혔다.
이날 기자들과 만난 권 원내대표는 "당론과 함께하기 어려우면 같은 당을 할 수 없는 것 아니겠나“라며 ”탈당을 진지하게 고려해 보라고 권유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