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상현 의원은 9일 "누구도 헌법과 법률 아닌 이상 대통령 직무 권한을 배제할 수 없다"며 "윤 대통령이 국정운영을 당 대표 한분 한테 맡긴 게 아니라 당의 중지나 의원들 뜻 통해 하라는 것"이라고 밝혔다.
4선 중진인 윤 의원은 이날 당 비상 의총 직후 기자들과 만나 "윤 대통령 탄핵에 반대한다"면서 "대통령 지키기가 아니라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 대한민국 체제를 지키자는 것"이라고 소신을 밝혔다.
특히 윤 의원은 "윤 대통령이 스스로 조사와 수사 받겠다고 하는데 왜 우리가 지레 (윤 대통령을)옭아매려 하느냐"며 "이재명(민주당) 대표는 12개 (범죄)혐의를 갖고도 당당히 여의도 대통령 노릇을 하고 있지 않는냐"고 지적했다.
또한 "내란죄 논란 있는데 내란죄가 성립되기 위한 대법판례 등 법률적 준비가 안 돼 있는 상황"이라며 "박 대통령때처럼 탄핵 먼저 밀어붙이는 건 옳지 않다"고 반발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대표의 경우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으로 대통령이 된)문재인 대통령 때(실정)보다 더 하면 더했지 덜하진 않을 것"이라며 "조기대선 하자는데 대한민국 미래를 위해 수사 결과를 더 지켜봐야 하기 때문에 조기대선에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그 이유에 대해 윤 의원은 "이재명(대표가) 대통령 되면 셀프사면에 나설 것"이라며 "국회 동의를 얻으면 일반사면이 가능한 만큼 (이 대표에 대한)기소권과 형 선고 효력도 취소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상민 전 의원도 "국민의힘 구성원들이라면 지금 중대 범죄 의혹을 받고 있고 여러 건의 재판을 받고 있는 이재명 대표와 소위 돈 봉투 사건 등 여러 범죄의 소굴로 되어 있는 민주당한테 권력을 넘겨주는 데 조력을 할 수는 없다고 본다"며 "우리가 미숙하고 잘못한 부분이 있다 할지라도 권력이 이재명과 민주당에 넘어가서 국가가 도탄에 빠지고 민생이 내팽개치는 일이 없도록 다시 한 번 마음을 다져먹고 윤석열 대통령을 지키고 윤석열 정부가 잘 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데 힘을 모아줘야 된다"고 강조했다.
이날 오전 YTN 라디오에 출연한 이 전 의원은 "탄핵소추안 표결에 국민의힘 이탈표는 전혀 없을 거라고 생각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특히 "지금까지 이재명 대표와 민주당이 윤석열 정부 출범 때부터 계속 태클을 걸고 장관, 또 정부의 구성원들 심지어는 이번에 감사원장 또 자신들 비리를 조사하고 있는 검사들을 중앙검사장 뭐 이런 분들을 탄핵 소추해서 직무가 정지되게끔 해버려 국가의 주요한 기능들을 다 올스톱시키려고 하고 있지 않냐"면서 "이렇게 윤석열 정부를 망가뜨려서 결국은 대선을 조기에 치르겠다는 흉악한 술책에 우리가 버티고 싸워서 끝내 이기고 나라를 반듯하게 정의를 세우고 또 민생을 돌보고 나라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우리 국민의힘이 더욱더 힘을 모아야 된다"고 거듭 강조했다.
앞서 한 대표는 전날 '대통령은 조기 퇴진하고, 대통령 퇴진 전까지 국무총리가 당과 긴밀히 협력하여 민생과 국정을 챙길 것’이라는 취지의 대국민 담화를 통해 사실상 윤 대통령에 대한 직무정지 방침을 공표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미 정부 산하 국제방송사인 '미국의소리(VOA)'는 이날 “오늘 아침에 한국에 책임을 지고 있는 것은 누구인가? 대통령이 자신의 권한 일부 혹은 전부를 정당 국민의힘(PPP)에 양도하는 공식 절차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나? 만약 그렇다면(권력 이양의 공식 절차가 있다면) 어떤 (법적) 근거로 그런 절차는 진행되나?”라고 대통령실에 문의한 내용을 sns에 공유했다.
이어 2시간 뒤에 "메시지를 내는 데 신중을 기해야 하므로 답변드릴 수 없는 사정을 이해해 달라. 만약 대통령실 수준에서 말할 수 있는 것이 있다면, 지체 없이 공유하겠다”는 대통령실 회신을 받았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