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측근 '강위원', 이광재 등 과거 범죄 처벌 이력 저격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더불어민주당 내 운동권 선후배 세력들이 주도권 다툼을 벌이며 갈등을 빚는 모양새다.
강위원 공동대표가 주도하는 이재명 당 대표 원외 친위 조직 '더민주전국혁신회의(더민주)'가 최근 '공천 전격 판정'이 번복된 정의찬 당 대표 특보 문제로 당내 '86 운동권' 정치인들의 실명을 거론하며 범죄 처벌 이력을 정조준하고 나서면서다.
강위원 대표와 ·정의찬 특보는 90년대 학생운동을 주도한 한총련의 핵심 간부 출신이다.
'더민주'는 20일 성명을 통해 "중앙당 공직후보자검증위원회가 출마예정자들에 대한 검증 결과를 발표했지만 납득되지 않는 이유로 부적격 판정을 받거나 검증 보류가 되는 일들이 이어지고 있다"며 "현역의원의 기득권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검증위가 악용되는 것은 아닌지 의심이 들 정도"라고 지적했다.
특히 "검증위가 김대중 대통령의 정치적 결단을 무시하고 사면권의 효력에 대한 헌법적 권리를 제한하는 이해할 수 없는 결정을 했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는다"며 "그렇다면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죄명을 강도죄나 방화죄 등으로 처벌받은 현역 의원들의 검증은 어떻게 할 것인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최근 국회 사무총장직에 물러나 출마를 검토 중이라는 이광재 전 강원도지사는 뇌물죄로 실형을 선고받고 문재인 대통령이 특별사면을 했는데 이 경우에도 사면권 효력에 대한 헌법적 권리를 무시하고 부적격 판정할 것이냐"고 반문했다.
더민주는 또 "검증위의 행태는 윤리성 강화와도 무관해 보인다"며 "양복을 받은 것을 인정하거나 지방의원 공천 장사를 한 의혹이 있는 경우에도 아무런 제재 없이 검증위에서 적격 판정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간접적으로 기동민, 송갑석 의원을 겨냥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정(의찬) 특보는 문제의 고문치사를 지시하지도 현장에 있지도 않았다"며 "이런 사정을 김대중 대통령이 감안해 사면복권을 통해 정 특보의 명예와 권리를 복원시켰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야권 관계자는 “한총련 그룹이 '정의찬 사태'를 계기로 운동권 선배 세대에게 ‘이제 자리를 내놓으라’고 도전장을 보낸 것”이라고 해석했다.
앞서 민주당은 지난 15일 과거 학생운동 시절 민간인 고문치사 사건으로 복역했던 정의찬 특보에 대한 총선 후보자 검증 심사에서 적격 판정을 내렸다가 논란이 일자 이를 번복했다.
1997년 한총련 산하 남총련 의장이자 조선대 총학생회장이던 정 특보는 당시 민간인이던 이종권씨를 경찰 프락치로 몰아 고문 폭행 하던 끝에 숨지자 은폐하려 했던 '이종권 고문치사 사건'에 연루돼 5년간 복역했고 이후 김대중 정부 때 사면 복권됐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