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安 ‘양강’ 구도…최대 변수는 윤상현?

고하승 / gohs@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3-01-29 13:58:41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주필 고하승



국민의힘 3.8 전당대회를 40 여일 앞두고 나경원 전 의원이 불출마를 선언하자 당권 구도는 ‘김기현-안철수 양강구도’가 그대로 이어지면서 싱거운 선거가 될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그 누구도 승리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자 나경원의 빈자리를 채워가고 있는 윤상현 의원이 급부상하면서 이제는 ‘2강 1중’ 구도로 급속히 재편되는 양상이다.


실제로 네이버와 다음 등 포털에서 ‘김기현’-‘안철수’ 못지않게 ‘윤상현’ 검색량 비중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른바 ‘김장(김기현-장제원)연대’에 맞서 ‘윤당(윤상현-당원)연대’라는 이름으로 당원들과의 연대를 강조하는가 하면, 영남권 연대에 맞서 수도권 연대를 강조하면서 ‘윤안(윤상현-안철수)연대’라는 새로운 연대를 만들어 내기도 했다. 그런 메시지가 그를 주목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었고, 그 관심이 고스란히 포털 검색량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다.


통상 검색량 비중이 높아지면 그로부터 10일 전후에 그 결과가 여론조사에 반영된다는 점에 비춰볼 때, 그의 지지율은 1주일쯤 지나면 눈에 띄게 상승할 것이다.


물론 그 오른 수치가 얼마나 될지 아직은 가늠할 수 없지만, 그가 이번 전대의 주요 변수가 될 것이란 점은 분명해 보인다.


이처럼 윤상현 의원이 뒤늦게 주목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나경원 전 의원의 지지율을 흡수할 요인이 가장 높은 당권 주자이기 때문이다.


사실 나경원 전 의원 지지자들과 윤상현 지지자들은 성향상 중복되는 부분이 많다.


나 전 의원 지지자들은 그가 비록 탄핵에는 앞장섰으나 다른 탄핵파 정치인들처럼 당을 깨고 나가 바른정당에 참여했다가 그 당이 망하자 돌아온 ‘탄돌이’가 아니라는 점을 높이 사고 있다. 따라서 나경원 지지자들은 대체로 친박 성향의 당원들과 정통 우파 당원들이라고 보면 맞을 것이다. 윤상현 의원은 친박성향이든 정통 우파든 거리감 없이 다가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김기현 의원은 이른바 ‘탄돌이’라고 불리는 장제원 의원과 연대를 함에 따라 친박 성향의 당원들이 선뜻 다가가기 어려운 상황이다. 다만 나경원 지지자들 가운데 정통 우파들은 그런 거리감이 덜할 것이다.


안철수 의원은 친박 성향의 지지자들은 거부감이 덜하겠지만, 정통 우파 지지자들은 뿌리가 민주당인 안 의원에게 거리감을 느낄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나경원 전 의원의 불출마선언이 조금만 더 빨랐다면, 지금쯤 윤상현 의원이 3강 구도를 형성했을지도 모른다. 윤 의원 측에서 볼 때 나경원 전 의원의 뒤늦은 불출마선언이 아쉬움으로 남을 것이다.


그러면 전당대회 상황은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 것인가.


윤상현 의원이 급부상하더라도 이미 굳어진 ‘김기현-안철수 양강구도’를 깨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설사 ‘2강 1중’ 구도로 급속히 재편된다고 해도 윤상현 의원이 결선투표에 진출할 확률 역시 높지 않아 보인다. 다만 윤상현 의원이 전당대회의 막판 최대 변수가 될 것이고, 판도를 뒤집는 핵심 변수가 될 것이란 점은 분명하다.


만일 김기현, 안철수 의원이 결선투표를 하게 된다면 윤상현 의원의 지지 표심을 끌어안는 쪽이 승리하게 될 것이고, 그러자면 모두 윤상현 의원에게 손을 내밀 수밖에 없다.


따라서 결선투표를 앞두고 윤상현 의원을 향한 김기현 의원과 안철수 의원의 구애가 더욱 깊어질 것은 불 보듯 빤하다. 따라서 누가 당 대표가 되더라도 윤 의원은 사무총장 등 중요 직책을 맡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실제로 김기현 의원이 ‘김장연대’를 통해 장제원 의원에게 사무총장 내어 줄 것이란 소문이 무성하지만, 그렇게 되면 당 내홍이 극에 달할 것이고 결국 김 의원은 수도권 승리를 위해서라도 윤상현 의원에게 중책을 맡길 수밖에 없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안철수 의원의 경우는 이미 ‘윤안연대’를 통해 수도권 연대를 공식 천명한 상태여서 윤 의원이 더욱 필요한 상황이다.


그런데 의외의 결과가 나올 가능성 또한 배제할 수 없다. 아직은 지지율이 한 자릿수에 불과한 윤상현 의원의 지지율이 두 자릿수로 ‘껑충’ 뛰는 순간 상승세가 탄력을 받으면서 김기현 의원과 안철수 의원을 긴장하게 만드는 ‘다크호스’가 될 수도 있다는 말이다. 선거란 참 미묘하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