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韓 갈등, '김대남 사주설' 이어 ‘만찬 패싱’논란까지...극단 치닫나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4-10-03 14:01:5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친한계, “만찬, 통상적인 일”수긍하면서도 “김대남, 진상조사 하겠다”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김대남 공격 사주’ 배후설에 이어 ‘한동훈 만찬 패싱설’까지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를 둘러싼 각종 논란으로 양측 간 갈등 국면이 극단으로 치닫는 모양새다.


다만 한동훈 대표측은 공격 사주 중심인물인 김대남 서울보증보험 상근감사위원에 대해 날을 세우면서도 “국정감사를 앞두고 통상적으로 진행되는 일”이라고 선을 긋는 추경호 원내대표 입장에 대체적으로 수긍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동훈 대표는 "당원이었던 사람이 정상적인 언론에 제보를 한다든가 기사를 써달라는 건 가능하지만 좌파 유튜브, 아주 극단에 서 있는 좌파 유튜브에 허위 공격을 사주하는 것은 선을 많이 넘은 해당 행위"라고 날을 세웠다.


한 대표는 이날 오전 세종문화회관에서 진행된 개천절 경축식 이후 기자들과 만나 "무슨 모의를 하는 게 아니라 실행 행위 자체가 그대로 녹음됐는데 (이를)알고서도 묵인한다면 공당이라고 할 수 없으니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친한계인 국민의힘 신지호 전략기획부총장도 “특수부 검사를 오래 하신 저희 대표가 이럴 때는 차분하게, 그런데 짚어야 할 건 짚고 넘어가는 스타일”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저희들은 짚을 건 좀 짚고 확인할 건 확인하고 가자, 이런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날 오전 CBS 라디오에 출연한 신 부총장은 ‘당 차원의 진상조사를 넘어서 명예훼손이나 업무방해로 검찰에 고발도 하는 거냐’는 진행자 질문에 “진상조사를 해봐야지 미리 정해놓고 할 수는 없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특히 신 부총장은 “(고발사주 논란의 중심 인물인)김대남 전 행정관이 (지난 7월10일)‘한동훈 70억 당비 횡령 의혹’ 보도를 (서울의소리)이명수씨에게 사주하면서 본인이 서울보증보험(고문)으로 갈 수 있는지 없는지를 결정하는 임원 후보 추천위원회가 7월15일 열린다는 걸 몰랐겠느냐"며 "이날 (상근감사위원으로)결정됐는데 이례적이다"라고 의구심을 보였다.


이어 “(국민의힘 전당대회 당시 토론회에서)원희룡 후보가 한동훈 후보에게 여의도연구원의 이미지 조사는 왜 시켰느냐, 당 비용으로 개인 이미지 조사한 것 아니냐라고 공격적인 질문을 던졌는데 12일 이명수의 단독 보도를 받아서 질문한 게 아니고 단독 보도가 나오기 전에 김대남이 제공해 준 내용과 유사한(내용으로 문제를 제기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다른 매체에서도 단독으로 (같은)내용을 보도했다”며 “이런 것들이 김대남 혼자 다 벌인 거라고 보기는 상식적으로 힘들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5월23일 총선백서 특위의 (이상규 성북을 당협위원장ㆍ이윤정 여연담당 소위원장)두 사람이 백서 제작을 위해 (홍영림 여의도연구원장 등)여연 관계자들과 면담하고 자료를 제출받았는데, 그러니까 김대남이든 원희룡 방송 공격 소재든 이게 원 소스”라며 “그런데 이건 밖으로 유출되면 안 되는 대외비였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거의 비슷한 타이밍에 나경원 캠프 총괄특보도 문제제기를 하고 원희룡 후보도 문제 제기를 하느냐”며 “우연의 일치라고 볼 수 있겠냐”고 거듭 강조했다.


한편 한 대표는 전날 서범수 사무총장에게 김대남 서울보증보험 상근감사위원에 대한 감찰을 지시했다.


한지아 수석대변인은 "보수정당 당원이 소속 정당 정치인을 허위 사실로 음해하기 위해 좌파 유튜버와 협업하고 공격을 사주하는 것은 명백하고 심각한 해당행위이자 범죄"라며 "당 차원에서 필요한 절차들을 통해 진상을 규명하고 그 결과에 따라 엄중히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씨는 지난 7월 전대를 약 2주 앞둔 10일 경 유튜브 채널 '서울의소리'에 총선 당시 여의도연구원에서 한 대표 이미지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를 전달하며 "(한 대표가)대통령 되려고 비대위 때부터 수작했다고 (보도)하면 된다. 너희가 이번에 그것을 잘 기획해서 (한 대표를)치면 아주 (김건희)여사가 좋아하겠다"고 통화한 녹취록이 공개됐다.


서울의소리가 공개한 녹취록에 따르면 김씨는 당시 통화에서 한 후보가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시절 당비 70억원을 들여 자기 대선을 위한 여론조사를 했다며 한 후보의 자녀 문제를 다뤄보라고 말했다.


이 같은 내용의 통화 녹취가 폭로되자 당내 친한계 인사들을 중심으로 대통령실을 겨냥한 '용산 배후설'이 제기됐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 관계자는 김 전 선임행정관에 대해 "실무급 행정관"이라며 "김 전 행정관 스스로 과장되고 일방적인 주장이라고 했듯이 저희가 보기에도 일방적인 주장"이라고 선을 그었다.


논란이 커지자 김 전 행정관측 유정화 변호사는 전날 입장문을 통해 "이 모든 논란을 일으킨 것에 진심으로 죄송한 마음을 전하며 의뢰인은 당을 떠나기로 결심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