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정신 잇기 위한 ‘제도적 뒷받침’의 행정정치” 강조
개인·단체 전유물 아닌 다양한 경험 공존…‘나-들’ 정신의 중요성
![]() |
▲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9일 오전 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5월중 정례조회에 참석해 ‘5·18, 그날이 오늘 우리에게 전하는 메시지’를 주제로 5‧18 행사에 대한 의미와 참여를 당부하고 있다./광주광역시 제공 |
강 시장은 이날 시청에서 열린 ‘5월 정례조회’에서 “5·18은 인간이 죽음과 고립의 공포를 극복하고 존엄을 증명했고, 그런 저항을 가능케 한 것은 다름 아닌 평범한 일상의 시민들의 나눔과 연대였다. 5·18정신 헌법전문 수록은 대선 공통공약으로, 대한민국 국민이면 여·야, 진보·보수, 호남·영남을 떠나 사실상 모두가 동의한 사안이자 헌법 개정의 절차만 남아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강 시장은 평범한 개인인 ‘나’가 모여 이룬 공동체, 공동체를 구성하는 출발점은 개인임을 의미하는 ‘나-들’의 5·18정신을 강조하고 행정·정치에서의 제도적 뒷받침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강 시장은 “군의 진압으로 돌아가신 분, 다치신 분, 그리고 남겨진 가족, 뒤늦게 5·18을 알게 돼 그 정신을 이어가거나 5·18 이후에 태어나 무관하게 자라난 세대 등 각자 다른 5·18에 대한 기억과 경험이 공존하고 있다”며 “이는 5·18이 어느 한 개인, 단체의 것일 수 없는 이유다. 이처럼 수많은 ‘나-들’의 기억이 모여 5·18의 큰 모자이크를 완성했다”고 진단했다.
강 시장은 “그러나 어떤 사람도 매일 매일을 그날의 ‘위대한 시민’처럼 살아갈 수는 없다”며 “그 정신을 되살려 시민의 존엄성을 지키고, 자유롭게 하기 위해 제도로 뒷받침하는 것이 행정과 정치에서 해야 할 일이다”고 밝혔다.
강 시장은 특히 “우리 시정의 방향은 시민을 더 자유롭게 하는 것이고, 그 자유는 더 많은 기회를 누릴 때 실현된다”며 “5월 광주시민의 존엄과 자유는 과거 ‘서로 돌봄’을 통해 지켜졌고 오늘날은 ‘광주다움 통합돌봄’을 통해 지켜질 것이다. 또 공동체에 기여하는 일의 가치 존중을 위해 농민·참여·가사공익가치 수당으로 실현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강 시장은 “이처럼 우리는 5·18정신을 행정으로 작지만 하나하나 이어가고 있다”며 “광주시는 1980년 5월의 위대한 시민들의 정신을 오늘에 이어갈 수 있는 제도를 하나하나 만들어왔고 반드시 성공시키겠다.”고 다짐했다.
강 시장은 올해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 활동이 마무리되는 만큼 발포명령자, 행방불명자 암매장 장소, 계엄군의 성폭력 범죄 등 진상규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강 시장은 “오늘은 광주의 진실을 세상에 알리기 위해 목숨을 바쳐 투쟁했던 분들을 먼저 기억하겠다”며 “1980년 노예로 살 것인가, 자유시민으로 살 것인가를 묻던 스물두 살 대학생 김의기, 1987년 나답게 살고 싶다던 스물다섯 살 노동자 표정두, 1988년 어두운 시대 참인간이고자 했던 스물다섯 살 대학생 박래전 등 평범하고자 했으나 평범할 수 없었던 수많은 청춘들이 진상규명을 위해 목숨을 걸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강 시장은 “5·18은 국민을 지켜야할 군인들이 총부리를 국민에게 돌린 명백한 국가폭력범죄이므로 진상규명을 끝까지 포기하지 않겠다”며 “5·18을 왜곡·폄훼하는 미래의 적이 끊임없이 다시 등장하고 있다. 당시의 피해자가 또 다시 피해자가 되지 않도록 반드시 진실을 규명하겠다.”고 역설했다.
이어 “5월17일 ‘민주평화대행진’에 광주시민과 공직자도 함께 참여해 5·18을 기억하는 자유로운 ‘나-들’로 바로 걷자”고 제안했다.
끝으로 강 시장은 5·18정신을 이어가기 위해 오는 5·18 43주년을 앞두고 광주를 찾는 이들을 환대하고 우리의 경험을 나눌 것을 당부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광주가 5·18의 도시이고 5·18이 광주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것은 우리의 자랑이다”며 “동아시아를 포함해 세계가 5·18에 주목하는 것은 5·18정신이 인류가 추구하는 보편적 가치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