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당게 “전수조사 결과, 韓 가족 명의 게시글 문제없어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4-11-27 14:04:19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주진우 ”당원 고발 계획 無...L모 유튜버 29일 수사 의뢰“
강명구 “당게 논란, 韓 살리자는 것... 계파갈등? 해당행위“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국민의힘 법률자문위원장 주진우 의원은 당원게시판 전수조사와 관련해 “확인 결과 (문제가 된)‘극단적인 선택을 하라’거나 ‘개 목줄 채워서 가둬야’는 2개의 글은 20대 임 모씨와 (한동훈 대표와 동명이인인)당원이 쓴 것”이라며 “한 대표 가족과는 무관한 게 밝혀졌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SBS 라디오에 출연한 주 의원은 ‘전수조사 결과의 핵심은 무엇이냐’는 진행자 질문에 “(한 대표)가족 명의의 (900여개)게시글 확인해보니 (주로)욕설이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900개(글) 중에 250개는 신문 사설과 언론기사 링크, 200개 정도는 단순 격려(내용)”이라며 “나머지 450개는 공개돼 있으니까 누구나 확인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그 정도 글은 당원 게시판 뿐만 아니라 포털사이트에 흔히 있는 글”이라며 "입에 담을 수 없는 패륜이라고 표현하기에는 (내용이)많이 약한 전제가 잘못된 문제 제기"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전수조사 결과가)어느 정도 객관적이라고 생각한다"며 "저도 그에 대한 고발(조치)로 정치적 책임을 지겠다"고 강조했다.


주 의원은 특히 ‘한 대표를 위한 방탄’이라며 조사 결과에 불신을 드러낸 장예찬 전 청년최고위원에 대해 "우리 당을 탈당한 입장에서 서운한 게 많을 것 같고 그러다 보니까 객관적이지 않은 것 같다"며 "법을 떠나 이 정도 당원 글을 문제 삼는 당도 있냐,는 생각이 들 정도로 평범한(내용)"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두르킹 사건과 유사하다’는 주장에는 "정말 객관적인 근거가 있어야 한다, 공당의 대표 아니냐"면서 "여론조작이라면 (당시)당 대표 선거가 가장 핫했는데 대부분의 댓글이 김경수 사면복권 반대 의견이 제일 많았고 (정점식)정책위의장이 왜 사퇴를 안하냐는 주장(글)들이 많았다"고 반박했다.


이어 "여론조작 동기도 없고 더 나아가 의혹 제기가 유튜버 중심으로 되다 보니까 논리 비약도 심하고, 기본적인 팩트 자체가 안 맞는다"면서 "구체적인 단서로도 어려울 것 같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당원 고발' 관련한 언론 보도에 대해 "당원 고발은 검토된 바 없고 고발할 생각도 없다"고 일축하면서도 "한동훈 대표에 대해 굉장한 반감을 갖고 김경율 회계사 관련 등 (허위사실을)퍼뜨린 유튜버(L모씨)에 대해서는 (29일쯤)수사 의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일반 국민을 상대로는 법적 조치를 안 하고 싶지만 너무 안하면 이걸 이용하게 되니 법적 조치가 불가피하다고 생각한다"며 "이분은 (유튜브)구독자나 슈퍼챗이 엄청 늘었다"고 강조했다.


장예찬 전 청년최고위원에 대해서는 "당 대표 선거 때부터 고소를 요청하는(등) 일반적이지 않는 행태를 보이는데 아마 본인의 정치적 입지를 높이려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며 "그런 수위로 발언한 사람들은 너무 많아서 합리적인 선별이 있어야 할 것 같다"고 여지를 남겼다.


다만 그는 "주장이 다 맞아 고발대상에 넣고 빼는 게 아니라 이미 우리 당을 떠난 분이라 (내부정보가 전혀 없어)말씀하시는 것들이 붕 떠 있어서 고발을 신중히 하려는 것"이라며 "어쨌든 고발 범위는 최소화하지만 그게 법적 처벌이 이루어졌을 때 추가 고발을 확대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을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같은 당 강명구 의원은 당원게시판 논란을 '한동훈 죽이기'로 규정한 한 대표를 겨냥해 "한동훈 살리는 얘기를 하고 있는 것"이라고 반박해 눈길을 끌었다.


이날 오전 ytn 라디오에 출연한 강 의원은 "2주 전 '이런 문제는 리더십을 발휘해 빨리 밝히면 괜찮다’고 초선의원 강명구가 충언을 드렸는데 ‘김옥균 포르젝트’다 뭐다 이상한 쪽으로 흘러가더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어 "당원 게시판의 핵심은 이게 한동훈 대표와 가족 명의가 도용됐느냐 아니냐 문제"라며 "예를 들어 가족이 썼으면 도의적인 문제라 잠깐 비난받고 그냥 끝날 문제지만 만약에 해킹됐다면 범죄일 수도 있으니 빨리 털고 가자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자중지란에 빠지면 당이 더 혼란스럽다"며 "오랜만에 당정이 혼연일체로 국정 쇄신을 함께 헤쳐 나가자고 손을 잡았는데 안타깝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당초엔)계파색이 없던 분들이 의혹을 제기했고 지금도 중립지대에 계신 분들이 얘기하고 있는 것"이라며 "이걸 계파 갈등으로 몰고 가는 게 해당 행위이고 나중에 후회하게 된다"고 우려했다.


최근 한 대표와 김민전 최고위원 간 설전에 대해서는 "옛날에 김무성ㆍ이준석 당 대표 시절에 최고위원회의 날선 공방이 고스란히 카메라에 찍혔던 적이 있다"며 "그때 당이 겪었던 혼란, 고통을 생각하면 정말 끔찍했던 기억을 (다들)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누군가의 잘못을 얘기할 때에는 이게 국민들에게 어떤 모습으로 비춰질까 고민해야 하고 비공개 때 했으면 좋지 않았겠냐 이런 생각이 들었다"며 특히 "(스텝인)최고위원회의 배석자들이 최고위원들이 공개적인 발언을 하고 있는데 끼어들어서 언쟁을 벌인 게 적절했냐는 부분을 지적하고 싶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런 것들이 당 지도부의 권위와 신뢰가 실추되는 모습"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